[로이슈 김영삼 기자] 종근당이 제약사들 중 가장 높은 '브랜드 신뢰지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GC녹십자와 동국제약이 뒤를 이었다.
1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4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올 7월과 8월 제약사 '신뢰' 연관 키워드들의 포스팅 수와 점유율을 분석 합산해 '브랜드 신뢰지수'를 산출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임의로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종근당 △GC녹십자 △동국제약 △광동제약 △보령 △일동제약 △동아제약 △JW중외제약 △제일약품 △한미약품 △하나제약 등이다.
조사시 키워드는 '제약사명' + '신뢰, 안전, 청결' 등이며 정보량과 함께 정보량 점유율을 합산한 브랜드 신뢰지수를 산출했다. 참고로 키워드간 한글 기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으로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 수 있다.
분석 결과 종근당이 총 970건의 관련 정보량을 보이며 '신뢰'관련 포스팅 점유율 20.49%로 브랜드 신뢰지수 1위를 차지했다.
7월 네이버의 한 블로거는 종근당의 아임비타 이뮨샷에 대하여 "액상 + 정제 + 캡슐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돼 있어 각각의 형태가 가진 장점을 모두 살린 구성으로, 흡수율과 편의성을 동시에 잡았다"며 "국내 대표 제약회사에서 만든 제품이라 안전성과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같은 달 뽐뿌의 한 유저는 "종근당이 개발한 글리타존계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듀비에(성분명 로베글리타존)가 3제 요법에서도 가치를 입증했다"고 말했다.
8월 티스토리의 한 유저는 "국내 대표적인 제약사 종근당이 고혈압 치료 복합제 '텔미누보'의 저용량 제품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GC녹십자가 총 644건의 포스팅 수와 13.60%의 점유율로 브랜드 신뢰지수 2위에 올랐다.
7월 "디시인사이드의 한 유저는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최근 자사의 수두백신 '배리셀라주'가 베트남 의약품청(DAV, Drug Administration of Vietnam)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같은 달 네이버의 한 블로거는 "GC녹십자는 한국화이자제약과 지난 6월28일과 29일 이틀간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 최신 지견과 '지노트로핀(성분명 소마트로핀)'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지노트로핀 블라섬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말했다.
동국제약이 총 623건의 관련 포스팅 수와 점유율 13.16%를 기록하며 브랜드 신뢰지수 3위를 차지했다.
7월 네이버의 한 블로거는 동국제약의 벅스케이프에 대해 "동국제약에서 만든 제품이라 신뢰할 수 있었고, 실내외 해충 퇴치는 물론, 벌레 물림 이후의 케어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정말 반가웠어요", "특히 한 번 쓰고 나면 성분이 순하면서도 효과는 오래가는 점이 마음에 들었어요"라는 후기를 남겼다.
이밖에 △광동제약 553건(11.68%) △보령464건(9.80)% △일동제약 368건(7.77%) △동아제약360건(7.60%) △JW중외제약 345건,(7.29%) △제일약품 203건(4.29%) △한미약품 197건(4.16%) △하나제약 8건(0.17%) 순으로 뒤를 이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최근 2개월간 제약사 신뢰도 관련 포스팅 수는 총 4735건으로 전년 대비 1014건, 27.25%나 급증했다"라고 말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종근당, 올 7·8월 브랜드 신뢰지수 제약업계 1위…GC녹십자·동국제약 순
기사입력:2025-10-01 21:09:0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41.59 | ▲96.03 |
| 코스닥 | 883.08 | ▲11.05 |
| 코스피200 | 550.01 | ▲13.6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9,624,000 | ▲1,524,000 |
| 비트코인캐시 | 822,500 | ▲2,500 |
| 이더리움 | 6,118,000 | ▲8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630 | ▲310 |
| 리플 | 3,906 | ▲24 |
| 퀀텀 | 3,048 | ▲4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9,663,000 | ▲1,406,000 |
| 이더리움 | 6,118,000 | ▲8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640 | ▲320 |
| 메탈 | 763 | ▲10 |
| 리스크 | 327 | ▲2 |
| 리플 | 3,908 | ▲25 |
| 에이다 | 1,009 | ▲12 |
| 스팀 | 138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9,620,000 | ▲1,420,000 |
| 비트코인캐시 | 823,500 | ▲5,000 |
| 이더리움 | 6,120,000 | ▲8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620 | ▲310 |
| 리플 | 3,905 | ▲21 |
| 퀀텀 | 3,042 | ▲27 |
| 이오타 | 223 | ▲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