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종오, 체육계 신뢰회복 위한…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 발의

기사입력:2025-09-08 00:06:47
진종오 국회의원 (사진=의원실)

진종오 국회의원 (사진=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이상욱 기자] 국회 문체위 소속 국민의힘 진종오 국회의원은 체육계 단체 임원들의 성추행·갑질·폭행 등 중대한 비위 사건이 공정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국민체육진흥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법상 문체부 장관은 체육 비리 및 인권침해에 대해 체육 단체에 징계를 요구할 수 있고 해당 단체는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따라야 한다.

하지만 최근 △태백시체육회 임원 갑질 △용인시체육회 막말 △제주시체육회 회장 성추행 논란 등에서 보듯이 체육 단체가 자체 재심의를 통해 사건을 무혐의 처리하거나 징계 수위를 낮추는 사례가 이어져 왔다.

이처럼 ‘제 식구 감싸기’는 피해자에게 2차 피해를 주고 체육계 전체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실제로 스포츠윤리센터에 신고된 사건들에서도 단체의 솜방망이 징계가 반복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A시체육회 회장이 직원들을 상대로 인권침해를 저질렀지만 징계는 ‘견책’에 그쳤다. 윤리센터가 징계를 요구했지만 협회장 자격정지는 이뤄지지 않았다. 또한 B도탁구협회 회장 당선자가 임원을 폭행했으나 협회 공정위는 ‘품위유지의무 위반’으로 ‘견책’만 의결했다.

그 뿐만이 아니다. C시축구협회장은 권한을 남용하고 성추행까지 저질렀지만 협회는 무징계로 넘어가려 했다. 이후 피해자 재심과 시체육회의 추가 의결로 간신히 ‘자격정지 5개월’ 처분이 내려졌다. 그런데 협회는 회장 해임 절차를 지연하며 규정을 위반한 채 운영을 지속해 왔다.

이번 개정안엔 △스포츠윤리센터 또는 수사기관이 조사·수사를 개시하면 해당 체육단체가 내부 징계절차를 개시하거나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고 △체육단체 임원에 대한 징계권한을 문체부장관(대한체육회·대한장애인체육회 임원) 또는 대한체육회·대한장애인체육회(그 밖의 체육단체 임원)에게 부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진종오 의원은 “체육회 내부의 솜방망이 징계와 제 식구 감싸기로는 더 이상 체육계 비리를 막을 수 없다”며 “이젠 외부 기관이 직접 징계 권한을 행사해 공정성을 보장하고 피해자 보호와 체육계의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진 의원은 “이번 법안이 통과된다면 체육계가 더 이상 비리와 인권침해를 덮지 못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징계와 책임이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진종오 국회의원은 지난 19일 기자회견을 통해 체육계 비리 국민제보센터 2기 출범과 함께 문화예술계의 불공정·갑질 근절을 위한 ‘문화예술클린센터’ 신설을 밝힌 바 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15,000 ▼254,000
비트코인캐시 823,500 ▼2,500
이더리움 6,469,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0,350 ▼140
리플 4,313 ▼2
퀀텀 3,605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638,000 ▼126,000
이더리움 6,474,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30,340 ▼130
메탈 1,056 ▼2
리스크 543 ▲1
리플 4,312 ▼2
에이다 1,278 ▼3
스팀 19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50,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822,500 ▼4,000
이더리움 6,46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30,340 ▼110
리플 4,313 ▼2
퀀텀 3,589 ▼74
이오타 279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