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인도 최대 반도체 전시회 ‘세미콘 인디아 2025’서 한국관 운영

기사입력:2025-09-03 19:48:31
[로이슈 전여송 기자]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면서 인도가 새로운 반도체 생산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KOTRA(사장 강경성)는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함께 지난 2일부터 사흘간 인도 뉴델리 인근 야쇼부미(Yashobhoomi)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미콘 인디아 2025(SEMICON INDIA 2025)’에서 한국관을 운영하고 우리 기업의 인도 진출을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세미콘 인디아 2025’는 인도 정부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 중인 최대 규모의 반도체 전시회다. 올해는 타타(Tata), 케인스(Kaynes), 마이크론(Micron) 등 글로벌 장비·소재 기업과 투자기관을 포함한 350개사가 참가했으며, 한국을 비롯해 일본·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 4개국이 국가관을 운영했다.

한국관은 국내 유망 반도체 기업 5개사의 제품을 전시하고 B2B 상담 공간을 마련해 수출 상담을 진행했다. 또한 인도전자반도체협회(IESA) 주관 라운드테이블과 인도 정부기관과의 네트워킹 프로그램에 참여해 양국 간 반도체 협력 확대의 기반을 마련했다.

인도의 반도체 수요는 스마트폰, 가전, 자동차 생산 증가에 따라 급격히 늘고 있다. 현재 약 530억 달러(약 69조 원) 규모의 시장은 2030년까지 약 1천억 달러(약 130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세계 반도체 시장의 약 1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2021년부터 약 90억 달러(약 12조 원)를 투입해 ‘세미콘 인디아’ 프로그램을 출범시키고, 전담 기구인 ISM(India Semiconductor Mission)을 설립해 글로벌 기업 유치에 나서고 있다.

특히 미국의 반도체 관세 부과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인도는 공급망 다변화의 핵심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도 업계 관계자는 “인도 반도체 산업이 태동하는 지금이 인도 반도체 공급망 진입의 최적기”라며, 한국 기업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 KOTRA 서남아지역본부장은 “현재 인도 전역에서 후공정을 중심으로 10개의 반도체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며, “이번 전시회 참가를 계기로 우리 기업들이 인도의 성장 잠재력을 직접 확인하고 현지 기업과 협력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전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5.12 ▲4.29
코스닥 811.40 ▲5.98
코스피200 432.86 ▲0.54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102,000 ▼22,000
비트코인캐시 856,000 ▼2,000
이더리움 6,029,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8,430 ▼10
리플 3,942 ▼3
퀀텀 3,854 ▼2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074,000 ▼80,000
이더리움 6,029,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8,460 ▲10
메탈 971 ▼4
리스크 507 ▼1
리플 3,943 ▼4
에이다 1,156 ▼4
스팀 182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05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855,500 ▼3,000
이더리움 6,03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8,430 ▲10
리플 3,941 ▼4
퀀텀 3,882 ▼21
이오타 257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