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 공무원들의 근무만족도 '보통'에도 못미쳐

서울 자치구 공무원 근무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발표
서울시 공무원, 보수는 적고 노후연금 불안, 의회 불신 심각
기사입력:2025-08-29 10:47:00
(제공=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지역본부)

(제공=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지역본부)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서울시 자치구 공무원들의 근무만족도가 ‘보통’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지역본부(본부장 전은숙)가 실시한 근무만족도 설문조사(2025. 7. 1~8. 8. 서울지역본부 조합원 응답자 1,672명/구글 설문조사) 결과, 전체 근무만족도 평균 점수는 2.83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8.8%는 ‘불만족’으로 보통을 제외하면 만족은 29.1%에 불과했다.

불만족하다는 답변은 공무원 임금, 연금, 인원충원, 의회, 인사, 행사동원, 악성민원 순으로 많았다사실상 서울시 공직사회 전반에 불만과 체념이 만연하고 있다는 결과다.

(임금·연금에 대한 불만 “서울 물가에 맞지 않아)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단연 임금(1.84점)과 연금 안정성(1.97점)이었다.

응답자 다수는 “서울의 높은 물가에 비해 봉급은 턱없이 부족하다”, “연금은 줄고 기여금만 늘어난다”며 생활 안정성에 대한 불안을 토로했다. 특히 입사 5년차 이하 9급, 8급 공무원들이 임금에 대한 불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후생복지 포인트(2.77점) 역시 체감도가 낮다는 불만이 많았다. 그러나 연가 사용(3.24점)과 출산·육아 지원(3.30점)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는 가정친화적 제도는 정착했지만, 경제적 보상은 시대에 뒤처져 있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공무원 행사 동원에 본업은 뒷전) 근무환경 부문에서도 문제점은 뚜렷했다. 행사·휴일 동원은 2.27점, 악성 민원 보호는 2.33점에 그쳤다. 응답자들은 “끝없는 행사 동원으로 본연의 업무를 하지 못한다”, “악성민원에 시달려도 공무원을 보호할 장치가 없다”고 지적했다. 사무실·편의시설은 2.96점으로 그나마 보통 수준에 머물렀다. 자치구 공무원들이 행사와 민원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승진은 하늘의 별 따기) 인사제도와 인력 부문은 공직사회 불만의 ‘핵심’으로 꼽혔다. 인사 공정성은 2.14점, 적정 인원 충원은 2.13점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교육 기회 역시 2.68점에 머물렀다. 응답자들은 “능력이 아니라 학연·지연과 청탁이 인사를 좌우한다”, “수십 년을 근무해도 6급에 머물러 퇴직하는 경우가 다반사다”라며 불신을 드러냈다. 한 사람에게 과도한 업무가 몰리는 인력 부족 문제 역시 반복적으로 지적됐다.

(상사는 지시만, 동료가 버팀목) 조직문화 항목에서는 상급자와 의사소통 2.91점, 수평적 조직문화 2.73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동료 협업은 3.19점으로 비교적 높았다. 이는 ‘상명하복적 문화’와 ‘갑질’에 대한 불만은 여전하지만, 동료 간 협력과 연대는 공직사회의 버팀목으로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한 응답자는 “상사는 지시만 하고 책임은 지지 않는다. 그래도 동료들과 함께 버티는 것이 유일한 힘”이라고 말했다. 휴가사용(3.23점)과 출산·육아 지원(3.30점)은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게 나왔다.

(기관장·의회 불신 “치적 홍보에만 힘쓰는 구청장, 갑질하는 의회”) 기관장과 의회에 대한 불신은 특히 심각했다. 구청장·시장 만족도는 2.57점으로 불만족 응답이 48%에 달했으며, 구의회·시의회 만족도는 2.05점으로 전체 항목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응답자의 65% 이상이 의회를 불신한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구청장은 직원들을 단순 홍보 도구로만 본다”, “의회는 감시와 견제보다는 오히려 갑질만 한다”며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이는 지방자치의 핵심 축인 지방의회가 오히려 공무원 사회에서 신뢰를 잃고 있다는 경고로 읽힌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지역본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임금·연금의 현실화 △공정한 인사제도 확립과 승진 적체 해소 △인력 충원과 악성 민원 보호 체계 마련 △불필요한 행사 동원 중단 △기관장·의회의 청렴성과 책임성 강화 등을 강력히 요구키로 했다.

한편 직렬분표를 보면 행정직군 (기술직 통합 제외): 1,324명 (79%), 기술직군 (통합인사 직렬): 217명 (13%), 임기제 (일반임기제·시간선택임기제): 93명 (6%), 관리운영직군 (사무운영·전기운영·기계운영 등): 42명 (2%)이며 직급 분포를 보면 9급: 249명 (15%), 8급: 478명 (29%), 7급: 503명 (30%), 6급: 364명 (22%), 5급 이상: 25명 (1%), 기타(마·라·다·나급 등): 57명 (3%)이다. 설문조사에 총 1,672명의 조합원이 참여했으며, 답변자 분포는 행정직군, 7급이하, 근속 10년 이하가 가장 많이 답변해 하위직의 의견이 많이 수렴됐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6.01 ▼10.31
코스닥 796.91 ▼1.52
코스피200 430.12 ▼1.69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494,000 ▼204,000
비트코인캐시 758,500 ▲2,500
이더리움 6,064,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9,080 ▲30
리플 3,909 ▼6
퀀텀 4,183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585,000 ▼42,000
이더리움 6,063,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9,090 ▲60
메탈 1,001 0
리스크 525 ▲2
리플 3,909 ▼2
에이다 1,142 ▼1
스팀 18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440,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759,000 ▲2,500
이더리움 6,06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70 ▲70
리플 3,909 ▼5
퀀텀 4,188 0
이오타 267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