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미국 글로벌 기업이 꾸준히 우리나라에 지도 데이터의 국외 반출을 요구하는 가운데 고정밀지도에 투입된 예산만 30년 간 6700억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광주 북구 갑) 국회의원이 국토부와 국토지리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축척 1:5000 고정밀지도는 1995년부터 전국 단위로 구축이 시작됐는데 올해까지 약 30년간 총 6700억 원이 투입됐다. 이는 항공사진 촬영 및 기준점 측량 비용을 제외한 금액으로 갱신·유지에만 추가로 매년 약 300억 원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전국 수준의 고정밀 지도를 구축한 국가는 한국과 대만 두 곳에 불과하다. 일부 지역 단위만 보유한 나라를 포함해도 싱가포르·스페인·프랑스·독일 등 극소수 뿐이다. 아는 이는 알다시피 구글맵 서비스가 제공되는 대부분의 국가의 구축 지도는 축적 1:50000에서 1:2500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1:5000 고정밀지도는 위치 정확도가 평균 1.5m 이내로 도로·건물·지형고도 등 세부 지형지물이 나타난다. 이 데이터가 구글의 보안 처리되지 않은 위성영상과 결합되면 국내 군사·보안시설이 노출되며 정밀 좌표 산출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군사타격·드론공격 등 전략적 활용 가능성이 높아 국외 반출이 제한돼 왔었다.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정부에 고정밀 지도 반출을 요구하는 이유는 단순한 지도 데이터 확보가 아니라 자율주행 시대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의도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고정밀 지도는 자율주행차 상용화의 필수 인프라로서 막대한 산업적·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글로벌 기업들의 반출 요구 배경에는 IT 인프라가 잘 갖춰진 한국 시장을 테스트 베드로 삼아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계산이 깔렸다는 것이다.
이에 구글코리아는 이달 초 블로그를 통해 자사가 한국정부에 반출을 요청한 1:5000 지도는 고정밀 지도로 분류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런데정준호 의원이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하자 국토지리정보원은 “구글의 주장은 사실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분명히 내놓았다.
정준호 의원은 “고정밀 지도 데이터는 구축을 위해 30년간 투입된 예산과 앞으로의 갱신 유지비용이 천문학적으로 소요되는 소중한 국가 자원인 만큼 반출 여부에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라고 거듬 강조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정준호 의원, 6700억 혈세 투입…고정밀지도 국가반출 신중해야
기사입력:2025-08-26 17:27:3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6.01 | ▼10.31 |
코스닥 | 796.91 | ▼1.52 |
코스피200 | 430.12 | ▼1.6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1,640,000 | ▲227,000 |
비트코인캐시 | 769,500 | ▲1,500 |
이더리움 | 6,215,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410 | ▲120 |
리플 | 3,946 | ▲3 |
퀀텀 | 3,997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1,702,000 | ▲340,000 |
이더리움 | 6,211,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410 | ▲140 |
메탈 | 1,023 | ▲3 |
리스크 | 527 | ▼4 |
리플 | 3,945 | ▲2 |
에이다 | 1,152 | 0 |
스팀 | 182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1,650,000 | ▲300,000 |
비트코인캐시 | 768,500 | ▲1,500 |
이더리움 | 6,21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80 | ▲110 |
리플 | 3,949 | ▲8 |
퀀텀 | 4,000 | ▼24 |
이오타 | 26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