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중소기업 지원 시 ‘낮은 문턱’을 강조했습니다.
오늘(20일) 오후 평택항 마린센터에서 자동차 기업 및 부품기업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중소기업이 각종 지원책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지원문턱을 낮춰달라”는 요구를 받고서였습니다.
오늘 간담회에는 현대자동차, 현대글로비스, 한국 후꼬꾸 임원 등 기업관계자들과 오윤석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단장, 김필수 대림대 교수 등 전문가들이 참석했습니다.
김동연 지사는 모두발언에서 “정부 출범이후 대책을 잘 준비하고 있고, 이달안에 한미정상회담이 있어 (관세문제에) 좋은 진전을 기대한다” 면서 “하지만 중앙정부가 기업들의 현장애로를 파악하고 실질적 집행으로까지 가기에는 시차가 있을 테니, 새 정부의 국정 제1 동반자로서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기업의 애로사항을 듣고 빠르게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런 뒤 기업인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했습니다.
참석자들은 “자동차 시스템은 한번 망가지면 회복이 불가능하다” 거나 “자동차 부품생산 기업중 2~3차사는 영업이익이 3~5%에 불과해 존속하기 어렵다”, “정부협상 통해 관세가 15%로 인하됐으나 언제부터 발효되는 것인지 불확실하다”와 같은 우려를 쏟아냈습니다.
“지금부터가 진검승부다”라는 상황진단에서부터 “부품업체 공동 해외진출을 도와 달라”거나 “지원문턱을 낮춰달라”는 등의 요구가 나왔습니다.
한국 후꼬꾸 여인대 이사는 미국의 포드, 스텔란티스 등 완성차업체와의 관세보전 협상 성과 등을 설명하면서 김동연 지사가 미국 미시간주를 다녀온 뒤 바로 완성차 업체쪽에서 연락이 와서 대화채널을 구축할 수 있었다고 사의(謝意)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김 지사는 권력공백기였던 지난 3월 31일 평택항에서 자동차 업계를 만나 애로를 청취한 뒤 지난 4월 10일 직접 미국으로 건너가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를 만나 한국 부품기업-미 완성차 3사간 채널 구축 등 4개항의 합의를 이끌어냈습니다.
김동연 지사는 다양한 의견을 들은 뒤 먼저 배석한 도청 실-국 간부들에게 “‘낮은 문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도 경제실, 국제국과 경제과학원이 같이 업계의 애로사항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콘택트 포인트를 만들어주기 바란다”고도 했습니다.
부품업체 공동진출 지원 문제와 관련해서도 “다시 (기업과) 자리를 마련해 검토하라”고 실국에 지시했습니다.
이어 김 지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제경제질서 자체가 개방과 자유무역에서 패권주의와 자국우선주의로 바뀌고 있다”면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상으로 가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경제부처에 오래 있으면서 97년 IMF 위기를 비롯해 여러 차례 경제 위기를 겪었다. 그때 경험에 의하면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살아남아야 한다. 그러면 반드시 기회가 온다“고 했습니다.
김 지사는 “아무쪼록 힘든 파고(波高)를 반드시 극복하고, 살아남고, 오히려 이번이 기회가 돼서 우리 경기도 기업들이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 “경기도가 난국을 헤쳐나가도록 최선의 노력과 지원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김동연 경기도지사, 자동차 기업 및 부품기업 관계자 간담회 개최
현장에서 중소기업 애로사항 들은 김동연, 중소기업 지원 시 ‘낮은 문턱’ 강조 기사입력:2025-08-20 16:58:3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2.91 | ▲32.82 |
코스닥 | 782.69 | ▲5.08 |
코스피200 | 427.69 | ▲4.0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27,000 | ▲140,000 |
비트코인캐시 | 783,000 | ▲2,000 |
이더리움 | 6,010,000 | ▲3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980 | ▲50 |
리플 | 4,093 | ▲20 |
퀀텀 | 3,217 | ▼7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47,000 | ▲194,000 |
이더리움 | 6,008,000 | ▲2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030 | ▲110 |
메탈 | 1,030 | ▲6 |
리스크 | 541 | ▲1 |
리플 | 4,093 | ▲20 |
에이다 | 1,234 | ▲17 |
스팀 | 18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24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783,500 | ▲2,000 |
이더리움 | 6,015,000 | ▲4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010 | ▲90 |
리플 | 4,093 | ▲22 |
퀀텀 | 3,260 | ▼73 |
이오타 | 27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