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유정복 인천시장이 미국발 경제위기에 인천시 기업인들과 머리를 맞대고 돌파구를 찾고있다.
글로벌 통상 환경이 급변하면서 인천 지역 수출기업들이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의약품 등 인천의 주력 수출 품목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 현장에서는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고관세 부과는 단순한 비용 증가를 넘어 공급망 차질,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천시는 이 위기를 기업과 함께 돌파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민관이 힘을 모아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단기적 피해 최소화와 중장기적 수출 경쟁력 강화라는 두 축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인천시는 이미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기업 피해 현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 긴급 자금 지원과 수출판로 다변화, 물류비 절감 지원 등 현실적 대책이 신속히 실행되고 있다. 특히 총 520억 원 규모의 기업 지원 패키지를 준비해 ▲고관세 피해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신흥시장 진출 지원 ▲물류비 부담 완화 등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기업 지원을 단순한 행정 조치가 아닌 현장 밀착형 대응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인천시장은 “수출기업 현장을 직접 찾아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더 필요한 지원이 무엇인지 살피겠다”며 기업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약속했다. 이는 그간 수출기업들이 호소해온 ‘탁상행정’을 넘어, 기업과 공공이 파트너십을 맺고 위기를 돌파하는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인천은 이미 환황해권 물류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보여왔다. 지난해 기준 인천 수출액은 약 570억 달러로 전국 수출의 9%를 차지하며, 반도체·바이오의약품·자동차 부품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주요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바이오·헬스 분야는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도 인지도를 넓히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남아·중동 지역으로 판로를 확대하고 있다. 시의 전략적 지원과 기업의 혁신 투자가 맞물리며 위기 속에서도 성장 가능성을 확인한 셈이다.
인천시는 이번 무역 위기를 ‘수출 체질 개선의 계기’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앞으로의 핵심 방향은 크게 세 가지다. 수출시장 다변화: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동남아·중남미·중동 등 신흥시장 진출 확대,인천항·인천공항을 활용한 물류 경쟁력 제고, 글로벌 허브 도시 위상 강화, 업종별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중소기업 중심의 현장 지원 확대다
무역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긴급 자금과 물류비 지원이 필요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 다변화와 기술 경쟁력 확보가 필수”라며 “인천시가 기업의 혁신을 지원하는 동반자적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미국의 고관세 부과라는 거센 파고 앞에서 인천 수출기업들은 위기에 흔들리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는 민관이 힘을 합쳐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 하고 있다. 기업과 행정이 함께한다면, 이번 위기는 인천 수출의 체질을 더욱 건강하게 다지는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정복 #인천시장 #태스크포스 #글로벌경제위기 #관세 #수출 #기업 #바이오·헬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기획특집] 인천 유정복호, 민·관 협력으로 두마리 토끼잡는다
글로벌 통상 환경 “단기적 피해 최소화와 중장기적 수출 경쟁력 강화” 기사입력:2025-08-20 08:42:2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0.40 | ▲30.31 |
코스닥 | 782.62 | ▲5.01 |
코스피200 | 427.31 | ▲3.6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874,000 | ▲361,000 |
비트코인캐시 | 786,000 | ▲4,500 |
이더리움 | 6,044,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90 | ▲110 |
리플 | 4,114 | ▲8 |
퀀텀 | 3,272 | ▲10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900,000 | ▲398,000 |
이더리움 | 6,049,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00 | ▲110 |
메탈 | 1,030 | ▲4 |
리스크 | 545 | ▲2 |
리플 | 4,114 | ▲9 |
에이다 | 1,239 | ▲6 |
스팀 | 18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830,000 | ▲370,000 |
비트코인캐시 | 786,500 | ▲5,000 |
이더리움 | 6,04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40 | ▲210 |
리플 | 4,113 | ▲6 |
퀀텀 | 3,276 | ▲124 |
이오타 | 27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