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유전성·희귀 비뇨기암 클리닉’ 개소

기사입력:2025-08-12 23:03:03
[로이슈 전여송 기자] 인구 고령화로 인해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 등 비뇨기암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조기 진단과 치료법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부신암, 고환암, 요막관암과 같이 발병률이 낮은 희귀 비뇨기암이나 유전성 요인으로 발생하는 비뇨기암은 여전히 제대로 된 진단이나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서울아산병원은 희귀 및 유전성 비뇨기암 환자의 정확한 진단부터 치료까지 심층적으로 관리하는 전문 클리닉 ‘유전성·희귀 비뇨기암 클리닉’을 최근 개설했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아산병원 유전성·희귀 비뇨기암 클리닉에서는 비뇨기종양 전문 의료진이 심층진료를 통해 환자의 병력, 증상, 가족력, 비뇨기 외 질환 등을 전반적으로 파악한다. 이후 국내 비뇨기암 환자 10명 중 1명을 치료하며 쌓아온 서울아산병원 비뇨기암센터의 임상 노하우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타과와의 협진이 필요한 경우 다학제 통합진료를 시행해 관련 의료진이 한자리에 모여 항암, 수술, 방사선치료, 적극적 경과관찰 등 최적의 치료방법을 모색한다.

특히 비뇨기를 포함해 신체 전반에 반복적으로 종양이 발생할 수 있는 유전성 비뇨기암의 경우 유전상담, 유전성 검사, 특수병리검사를 시행해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한다.

유전성·희귀 비뇨기암 클리닉의 진료 대상은 VHL 유전자 변이로 인해 신장을 비롯해 췌장·망막 등 여러 장기에 종양이 생기는 VHL 증후군, FH 유전자 변이로 발생하며 진행이 매우 빠르고 예후가 나쁜 FH 결핍 신장암, 전 세계 연간 발병률이 백만 명당 약 0.5~6명으로 발생하는 부신암·갈색세포종·부신경절종·고환암·요막관암 등이다.

유전성·희귀 비뇨기암 클리닉을 담당하는 박인근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유전성·희귀 비뇨기암의 경우 표준치료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환자의 증상, 병력, 유전자변이 유형 등을 포괄적으로 판단해 환자 맞춤형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비뇨기암센터가 쌓아온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 비뇨기암센터는 국내 비뇨기암 환자 10명 중 1명을 치료하며 비뇨기암 치료를 선도하고 있다.

한 해에만 7만 명이 넘는 외래 환자를 치료하고 있으며, 2009년 국내 최초로 다학제 통합진료 도입 이후 연간 170여 건의 통합진료 시행하며 다양한 비뇨기암에 대한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비뇨기암센터는 최근까지 4만 건 이상의 비뇨기암 수술을 시행했다. 그 중 전립선암 99%, 신장암 80% 이상 등 대부분의 수술을 최소침습으로 시행하며 환자들의 합병증과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있다. 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률은 0~0.12% 수준으로 우수한 성적을 자랑한다.

이외에도 유전체·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면역항암제 및 표적항암치료, 수술이나 고주파열치료가 어려운 환자 대상 고난도 방사선치료, 고주파 전류를 이용해 종양 조직을 없애는 RFA 영상의학과 시술도 활발히 시행하며 환자의 증상과 원인에 맞는 치료 옵션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서울아산병원은 국내 최초로 테라노스틱스센터를 개설해 난치성 전이암 환자에게 전립선암 혁신 치료제인 플루빅토를 활용한 치료를 적극 시행하고 있다.

이재련 서울아산병원 비뇨기암센터장(종양내과 교수)은 “앞으로도 고난도·난치성 비뇨기암 극복을 위해 최신 치료법을 적극 도입하고, 진료과 간 유기적인 협진 시스템을 통해 비뇨기암 치료를 선도하며 수준 높은 치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은 매년 암 수술 및 시술 건수와 같은 양적 지표, 5년 생존율과 같은 질적 지표 등 암 치료 성과와 암병원 역사 및 현황을 담은 ‘암분야 의료질 평가 보고서(Outcomes Book)’를 발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국내 5대 호발암인 간암, 대장암, 위암, 유방암, 폐암을 주제로 발간했으며, 올해는 남성에서의 호발암인 비뇨기암 중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을 대상으로 2024 암분야 의료질 평가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25.66 ▲1.29
코스닥 815.26 ▲1.16
코스피200 436.5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459,000 ▲527,000
비트코인캐시 829,500 ▲1,500
이더리움 6,448,000 ▲46,000
이더리움클래식 31,310 ▲170
리플 4,323 ▲21
퀀텀 2,956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401,000 ▲431,000
이더리움 6,450,000 ▲44,000
이더리움클래식 31,320 ▲60
메탈 1,024 ▲1
리스크 573 ▲1
리플 4,324 ▲21
에이다 1,293 ▲9
스팀 18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460,000 ▲530,000
비트코인캐시 828,500 ▲500
이더리움 6,450,000 ▲50,000
이더리움클래식 31,280 ▲150
리플 4,327 ▲20
퀀텀 2,890 0
이오타 282 ▲4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