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치솟는 분양가와 강화되는 대출 규제 속에서 ‘분양가상한제’ 적용 아파트가 2025년 부동산 시장의 핵심 흥행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주변 시세보다 수천만 원에서 최대 수억 원까지 저렴한 분양가에 공급돼 실거주와 시세차익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2025년 분양 시장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건축비와 토지 가격 상승은 분양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948만8,000원으로, 전월 대비 2.5%, 전년 동월 대비 4.44%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3.3㎡당 4,607만9,0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9.97%나 급등했고, 수도권도 3.3㎡당 2,915만4,000원으로 7.72% 올라 수요자들의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는 내 집 마련의 문턱을 한층 높였다. 6.27대책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강화와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 등으로 대출 가능 금액도 줄면서 매수자가 부담해야 하는 자기자본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아파트들이 실수요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주변 시세 대비해 ‘착한 분양가’로 공급되면서 대출 부담이 줄고 향후 안전마진까지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단지는 청약 경쟁률도 높았다. 널리 알려진 동탄신도시 외에도 4월 의왕에서 분양한 제일풍경채의왕고천(B2)의 경우 21.58대로 1순위 청약 마감했으며, 7월 군포에서 분양한 ‘대야미역 금강펜테리움 레이크포레’도 최고 20.8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청약을 마감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자금 마련 부담이 큰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고 시세차익도 기대할 수 있는 분양가상한제 단지로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며 “공급이 한정적인 만큼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청약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8,9월에도 분양가 상한제 적용 아파트들이 공급을 앞두고 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인천에서 검단신도시에 계룡건설이 ‘엘리프 검단 포레듀’를 8월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15층, 11개 동, 총 669가구로 조성된다. 전용 64㎡부터 110㎡까지 다양한 평면을 구성해 폭넓은 선택이 가능하며,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합리적인 분양가 책정이 기대된다.
호반건설은 9월 경기 김포에서 풍무역세권개발 첫 분양단지로 ‘호반써밋’ 브랜드를 선보일 예정이다. 풍무역세권 첫 분양을 알리는 상징적 단지로, B5블록에 총 956가구(전용 84·112·186㎡P)가 들어설 계획이다.
부산에서는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에코델타시티 11블록에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트레파크’를 8월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4층, 13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1,370가구의 대단지로 구성된다. 서부산권의 신흥 주거지로 부상하는 부산 에코델타시티에 조성되며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가격 경쟁력도 갖췄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2025년 하반기 흥행 키워드 ‘분양가상한제’ 아파트
기사입력:2025-08-11 12:02:0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6.77 | ▼3.24 |
코스닥 | 811.85 | ▲2.58 |
코스피200 | 433.29 | ▼0.1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5,012,000 | ▼148,000 |
비트코인캐시 | 808,500 | ▲7,000 |
이더리움 | 5,889,000 | ▲3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220 | ▲180 |
리플 | 4,420 | ▼12 |
퀀텀 | 2,939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5,228,000 | ▲21,000 |
이더리움 | 5,890,000 | ▲4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180 | ▲180 |
메탈 | 1,043 | ▲13 |
리스크 | 591 | ▲1 |
리플 | 4,422 | ▼9 |
에이다 | 1,094 | ▲1 |
스팀 | 18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5,040,000 | ▼110,000 |
비트코인캐시 | 808,000 | ▲6,500 |
이더리움 | 5,890,000 | ▲4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180 | ▲180 |
리플 | 4,420 | ▼11 |
퀀텀 | 2,934 | ▲24 |
이오타 | 28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