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순직 사건, 대통령실·경찰 수차례 통화 정황 포착

기사입력:2025-08-10 15:29:51
브리핑 하는 정민영 특검보.(사진=연합뉴스)

브리핑 하는 정민영 특검보.(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해병대 수사단의 채상병 사건 초동 조사 결과가 경북경찰청에 이첩되기 전후로 대통령실과 당시 기관장인 경북경찰청장이 여러 차례 통화한 정황이 포착됐다.

10일 법조계에 따르면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특별검사팀은 당시 최주원 전 경북경찰청장(치안감)이 채상병 사건에 대한 경찰 수사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꾸준히 대통령실 관계자와 연락을 주고받은 통신 내역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최 치안감은 채상병 사망 당시 경북경찰청장을 지냈으며, 현재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을 맡고 있다.

경북경찰청은 2023년 8월 2일 박정훈 대령이 이끄는 해병대 수사단으로부터 최초 조사 기록을 이첩받은 후 국방부 검찰단으로 기록을 인계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이 군 검찰단에 협조하도록 대통령실과 국방부가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검은 대통령실이 최 치안감을 통해 수사에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위를 파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특검팀은 최 치안감이 개신교 선교 방송인 극동방송 관계자들과도 여러 차례 통화한 기록도 확인했다.

극동방송은 임 전 사단장에 대한 ‘구명로비’ 창구 가운데 하나로 의심받고 있다. 일부 관계자가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측과 연락을 한 정황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임성근 구명로비 의혹은 2023년 7월 해병대 채상병 순직 후 수사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가 임 당시 해병대 1사단장이 처벌받지 않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다.

채상병의 소속 부대장이었던 임 전 사단장은 박정훈 대령이 이끈 해병대 수사단 초동조사에서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로 적시됐지만,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결재 번복 이후 이뤄진 재조사에선 피의자에서 제외됐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0.01 ▼17.67
코스닥 809.27 ▲3.46
코스피200 433.47 ▼1.8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038,000 ▲538,000
비트코인캐시 773,000 ▼500
이더리움 5,777,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31,470 ▼10
리플 4,384 ▲8
퀀텀 2,994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980,000 ▲790,000
이더리움 5,777,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31,440 ▼20
메탈 1,050 0
리스크 587 ▼2
리플 4,383 ▲8
에이다 1,097 ▲3
스팀 19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150,000 ▲550,000
비트코인캐시 775,000 ▲1,500
이더리움 5,780,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31,470 ▲30
리플 4,386 ▲12
퀀텀 3,050 0
이오타 28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