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KOTRA(사장 강경성)는 한국 청년의 호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8월 7일 시드니에서 ‘2025 호주 취업박람회’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시드니에 이어 14일에는 멜버른에서도 박람회를 열어 현지 취업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공동주최한 시드니 취업박람회에는 ▲포스코, ▲NH농협, ▲(주)바텍 등 우리 진출기업과 ▲핀덱스(FINDEX), ▲애플잭(APPLEJACK) 등 호주 현지 기업을 합쳐 총 30개사가 참가했다. 한편, 멜버른 취업박람회에는 ▲코스맥스엔비티(주) 등 우리 진출기업과 ▲노보텔(Novotel) 등 호주 현지 기업을 포함해 총 17개사가 참가할 예정이다.
현재 호주는 3.85%의 높은 기준금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투자 위축으로 민간 소비 회복도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소비 부진은 기업들의 고용 여력 감소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민간 부문 고용시장은 정체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호주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6월 실업률은 4.3%로, 최근 1~2년간 이어졌던 완전고용 흐름에 비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고용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도, 호주 취업을 희망하는 한국 청년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3~2024 회계연도 기준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보유한 한국인은 1만 2,700명으로 전년보다 약 3,800명 늘었고, 호주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 유학생도 1만 3,240명으로 전년 대비 약 840명 증가했다. 호주의 인사·채용 전문 기업 A사는 “최근 미국 비자 발급이 어려워지면서 같은 영어권 국가인 호주에 대한 취업 문의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증가하는 구직 수요에 대응해, KOTRA는 이번 박람회에서 ▲온오프라인 채용 면접, ▲산업별 일대다 멘토링, ▲1:1 법률 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해 호주 취업 희망 청년을 적극 지원한다. 특히, 호주 내 일자리 발굴을 강화하여 7일 개최된 시드니 취업박람회 규모를 작년 대비 대폭 증가시켰다. 작년 시드니 취업박람회에는 구인처 24개사가 참가하고 44개의 일자리가 열렸으나 올해는 구인처 30개사가 참가하고 70개의 일자리가 열렸다.
시드니 취업박람회에 참가한 구직자 L씨는 “호주 대학을 졸업했지만 현지 취업이 쉽지 않았다”며, “이번 박람회를 통해 호주 현지 기업은 물론 한국계 기업과도 면접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취업 기회가 확실히 넓어졌다고 느꼈다”고 전했다.
최용준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는 “호주는 우리 청년들이 지닌 글로벌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무대로, 앞으로도 실질적인 취업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구본경 KOTRA 동남아대양주지역본부장은 “호주는 최저임금이 세계 최고 수준인 매력적인 선진 취업 시장”이라며, “KOTRA는 이번 호주 취업박람회를 비롯해 앞으로도 한국 청년과 양질의 해외 일자리를 연결하는 기회의 장을 지속적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KOTRA, 호주 멜버른서 ‘2025 호주 취업박람회’ 개최
기사입력:2025-08-07 18:40:2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25.66 | ▲1.29 |
코스닥 | 815.26 | ▲1.16 |
코스피200 | 436.5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725,000 | ▼173,000 |
비트코인캐시 | 812,500 | ▼5,500 |
이더리움 | 6,208,000 | ▼7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10 | ▼240 |
리플 | 4,244 | ▼23 |
퀀텀 | 2,892 | ▼3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767,000 | ▼332,000 |
이더리움 | 6,223,000 | ▼7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10 | ▼350 |
메탈 | 1,006 | ▼3 |
리스크 | 559 | ▼3 |
리플 | 4,248 | ▼31 |
에이다 | 1,235 | ▼18 |
스팀 | 178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640,000 | ▼330,000 |
비트코인캐시 | 813,000 | ▼5,500 |
이더리움 | 6,215,000 | ▼6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440 | ▼330 |
리플 | 4,244 | ▼23 |
퀀텀 | 2,890 | ▼55 |
이오타 | 272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