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본원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가 최근 뇌심부자극수술(Deep Brain Stimulation, DBS) 100례를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3월 고려대 안암병원에 부임한 이후 단기간에 달성한 성과다.
뇌심부자극수술은 파킨슨병, 수전증과 같은 운동장애질환 및 강박장애 등 난치성 정신질환의 대표적 신경외과적 치료법이다. 각 질환에 해당하는 뇌 심부 회로에 전극을 삽입하고 전기 자극을 통해 이상 운동 및 정신 증상을 조절하는 고난도 수술로 정확한 진단과 술기가 요구된다.
장진우 교수는 2000년 2월 국내 최초로 뇌심부자극수술 기법을 도입했으며, 이후 운동장애 이외에 강박장애, 뇌전증, 난치성 통증의 치료에 뇌심부자극수술법을 확장하는데 기여한 바 있다. 현재 안암병원에 첨단 초음파 뇌수술센터를 개소하여 치매, 우울증, 마약중독 등 다양한 난치성 뇌질환의 극복을 위한 연구 활동으로 뇌심부자극수술과 고집적 초음파 뇌수술을 통합한 첨단 난치성 뇌질환 통합 치료센터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장진우 교수는 “부임한 지 1년 조금 넘는 기간에 뇌심부자극수술 100례 달성은 안암병원이 이미 국내 정상 수준의 난치성 신경계 질환 통합 치료 센터로 도약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그간의 축적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난치성 신경계 질환 환자분들께 희망을 줄 수 있는 첨단 신경외과적 수술법을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장진우 교수는 2024년 9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정위기능신경외과 학술대회에서 국내 최초로 Ronald R. Tasker Award(로널드 R.태스커 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아시아 태평양 뇌치료 초음파 학회 회장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세계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 회장, 아시아오세아니나 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 회장, 대한신경외과학회 이사장, 대한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 회장, 대한치료초음파뇌수술학회 회장, 대한통증연구학회 회장 및 대한뇌신경장애연구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고려대 안암병원 장진우 교수, 뇌심부자극수술 100례 달성
기사입력:2025-08-07 18:08:4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967.89 | ▼153.85 |
| 코스닥 | 893.50 | ▼33.07 |
| 코스피200 | 559.16 | ▼22.78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1,614,000 | ▼185,000 |
| 비트코인캐시 | 720,500 | ▼1,500 |
| 이더리움 | 4,898,000 | 0 |
| 이더리움클래식 | 21,370 | ▼150 |
| 리플 | 3,293 | ▼23 |
| 퀀텀 | 2,505 | ▼2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1,686,000 | ▼158,000 |
| 이더리움 | 4,909,000 | ▲1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400 | ▼90 |
| 메탈 | 590 | ▼2 |
| 리스크 | 264 | 0 |
| 리플 | 3,298 | ▼16 |
| 에이다 | 781 | ▼2 |
| 스팀 | 109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1,610,000 | ▼160,000 |
| 비트코인캐시 | 716,500 | ▼6,500 |
| 이더리움 | 4,905,000 | ▲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410 | ▼130 |
| 리플 | 3,292 | ▼26 |
| 퀀텀 | 2,510 | ▼9 |
| 이오타 | 188 | ▲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