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특정 언론사에 행정광고 편향 집행

수십억 원의 행정광고 예산···언론 통제 수단으로 광고를 악용



“시민 혈세로 언론 길들이나” 시민단체·언론계 강한 반발
기사입력:2025-08-05 15:30:25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청 전경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차영환 기자] 인천시가 특정 언론사에 행정광고를 편향적으로 집중 집행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 형평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시정에 비판적인 기사를 대대적으로 실은 모 지역 일간지에만 대규모 광고가 실린 반면, 시정 성과를 중점 보도해온 언론에는 오히려 광고를 배제한 정황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와 언론계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한 인터넷 매체 기자는 뉴스프리존과의 인터뷰에서 “인천시가 비판 기사를 낸 특정 언론에 직후 대규모 광고를 집행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며 “이는 시민의 혈세로 언론을 길들이려는 시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최근 모 인천 일간지는 유정복 시장과 인천시 주요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를 연이어 게재했고, 그 직후 해당 매체에 인천시 지면광고가 실렸다. 반면, 시정 홍보에 협조적이었던 다수 지역 언론에는 광고 집행이 거의 없거나 대폭 축소된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언론계 한 관계자는 “시정을 비판한 직후 광고가 쏟아지는 경우는 일반적인 행정광고 집행 기준과는 거리가 멀다”며 “광고 예산이 시민 정보 전달 목적이 아닌, 언론 대응 수단으로 변질된 것이 아닌지 의심된다”고 말했다.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최근 인천시 정무수석으로 임명된 보수 유튜버 출신 지석규 수석이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됐다고 밝히는 영상을 올리며 또 다른 파장을 일으켰다.

그는 해당 영상에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유정복 시장이 낙선할 수도 있다”고 말하며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스스로 훼손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해당 영상은 현재 비공개 처리된 상태지만, 당시 발언은 지역 일간지를 통해 기사화됐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내부적 검토를 고려해 집행된다”며 “언론의 논조나 비판 여부는 광고 집행과 무관하다 며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일부 언론계는 이러한 해명에 납득하지 않는 분위기다. 또 다른 기자는 “광고 집행 기준을 명확히 공개하지 않는 한, 특정 매체에 대한 특혜 의혹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며, “혈세로 언론을 관리하는 듯한 행태는 언론의 자유를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천시는 매년 수십억 원의 행정광고 예산을 집행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편중 논란은 유정복 시장 취임 이후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한 지역 일간지 기자는 “시민 앞에 광고 집행의 객관적인 기준을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며, “정책 홍보가 아닌 언론 통제 수단으로 광고를 악용하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의 알권리와 공공예산의 투명성이라는 두 가치 사이에서, 인천시가 어떤 기준과 원칙으로 향후 대응에 나설지 귀추가 주목된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25.66 ▲1.29
코스닥 815.26 ▲1.16
코스피200 436.5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405,000 ▼187,000
비트코인캐시 821,500 ▼1,000
이더리움 6,13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540 ▲60
리플 4,282 ▲5
퀀텀 2,846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552,000 ▼29,000
이더리움 6,137,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30,570 ▲120
메탈 998 ▼4
리스크 560 ▲1
리플 4,284 ▲1
에이다 1,299 ▲1
스팀 18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46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823,000 ▼1,500
이더리움 6,13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30,590 ▲170
리플 4,284 ▲5
퀀텀 2,810 0
이오타 27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