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이하 마트노조)는 7월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150명의 조합원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회견을 갖고 국회의 즉각적인 'MBK청문회 개최'를 강력히 요구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4일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이에 따라 국회는 같은 달 18일 여야 합의로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결정했으나, 이날까지 133일간 아무런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마트노조는 이를 "국회의 약속 불이행"이라 지적하며, 국민의 생존권을 저버린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마트노조는 이번 사태의 근본적 책임이 투기자본 MBK파트너스에 있다고 주장한다.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한 후 수년간 알짜 자산을 매각하고 이를 재임대하는 구조로 수익을 추구해 왔으며, 결과적으로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악화시켰다는 것이다. 현재 홈플러스는 운영 적자를 지속하며 회생 가능성조차 불투명한 상황에 처해 있다.
조합 측은 "MBK가 회생절차를 악용해 기업 청산을 시도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노동자 10만 명, 입점업체 및 협력업체들의 생계가 파탄 위기에 처했다"고 했다. 특히 청문회가 열리지 않는 동안 MBK 김병주 회장은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은 채 자유롭게 활동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사회를 맡은 최철한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사무국장은 "청문회는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자 사모펀드의 사회적 책임을 묻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국회에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진보당 정혜경,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사회민주당 한창민, 민주당 이강일 의원 등 여야 국회의원이 참석해 발언에 나섰다.
정혜경 의원은 "홈플러스 사태는 사모펀드 MBK의 거짓과 불법이 만들어낸 사회적 재난"이라며 "금감원 조사를 이유로 청문회를 미루는 것은 무책임한 행태"라고 비판했다.
민병덕 의원은 "3월 18일 여야가 합의한 청문회가 아직도 열리지 않았다"며 "MBK가 회사를 악의적으로 청산하려 했다는 정황이 있는 만큼 청문회를 통해 국민 앞에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창민 의원은 "청문회는 단순한 요구가 아니라 노동자들의 절박한 외침"이라며 "사회적 협의체 구성 등 정부와 국회가 함께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강일 의원도 "투명한 인수 절차와 책임소재 확인을 위해 청문회는 필수"라며 입장을 같이했다.
서비스연맹 김광창 위원장은 "MBK는 홈플러스의 알짜 자산을 매각해 고의로 기업을 붕괴시켰다"며 "MBK 김병주 회장에 대한 청문회 증인 출석과 책임 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김진억 서울본부장은 "국회는 사모펀드의 사회적 책임을 입법으로 물어야 한다"며 "청문회는 유통산업 붕괴와 지역경제 몰락을 막는 최소한의 조치"라고 밝혔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서울본부는 7월 28일부터 3일간 총회를 열고 MBK 본사와 대통령실 앞 결의대회를 진행했으며, 이번 국회 기자회견을 마지막으로 청문회 개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조합은 향후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국회와 정부의 책임 있는 행동을 촉구해 나갈 방침이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133일째 침묵, 국회는 약속을 지켜라"…마트노조, MBK 청문회 즉각 개최 촉구
기사입력:2025-07-30 18:01:2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25.66 | ▲1.29 |
코스닥 | 815.26 | ▲1.16 |
코스피200 | 436.5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255,000 | ▲101,000 |
비트코인캐시 | 810,000 | ▲1,000 |
이더리움 | 6,199,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970 | ▼140 |
리플 | 4,293 | ▼7 |
퀀텀 | 2,995 | ▼1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359,000 | ▲141,000 |
이더리움 | 6,200,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31,000 | ▼80 |
메탈 | 1,047 | ▼3 |
리스크 | 569 | ▼5 |
리플 | 4,297 | ▼3 |
에이다 | 1,321 | 0 |
스팀 | 18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280,000 | ▲120,000 |
비트코인캐시 | 811,000 | ▲3,000 |
이더리움 | 6,19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170 | 0 |
리플 | 4,294 | ▼7 |
퀀텀 | 3,006 | 0 |
이오타 | 29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