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대형면적 아파트의 가격 변동률이 다른 면적 대비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에서 통용되는 ‘거거익선’이라는 말이 우스갯소리가 아닌 정설로 굳혀지는 모양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 대비 2025년(6월 기준) 전국의 면적별 아파트 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대형면적(전용면적 135㎡초과) 아파트의 가격 변동률이 11.87%로 가장 높았다.
이어 △중형(85㎡초과~102㎡이하) 8.99% △중대형(102㎡초과~135㎡이하) 8.13% △중소형(60㎡초과~85㎡이하) 4.56% △소형(60㎡이하) 4.47% 순으로 집계됐는데, 다른 면적이 일제히 한 자릿수를 보인 것과 대조적이다.
대형면적 아파트의 가격 변동률은 수도권에서 15.78%를 기록하며 △중형(85㎡초과~102㎡이하) 12.25% △중대형(102㎡초과~135㎡이하) 11.01%에 비해 가격 변동률이 높았다.
지방권에서도 6.49%의 가격 변동률을 나타냈다. △중대형(102㎡초과~135㎡이하) 4.45% △중형(85㎡초과~102㎡이하) 3.89%와 견줘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원인에는 공급과 수요의 구조적 불균형이 자리하고 있다. 공급 측면에서는 지난 2020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최근 5년간 전국적으로도 대형면적 아파트의 일반공급 가구수는 총 6,811가구로 해당기간 전체 가구수(67만5,151가구)의 1%에 그칠 정도로 희소한 수준이다. 특히 수도권이나 강원과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이 비율이 더욱 낮아, 청약 기회조차 손에 꼽을 정도다.
수요 측면에서는 중산층 이상의 실수요자들이 넓은 평형을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닌 자산 가치로 인식하며 선호하는 흐름이 이어지면서 ‘똘똘한 한 채’에서 나아가, ‘크고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강화되고 있는 점이 한몫을 한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대형면적 아파트는 수요와 공급 모두 특정 계층에 집중되다 보니, 일반적인 주택시장과는 분리된 흐름을 보인다”며 “소형·중형 면적대는 대출 조건, 경기 민감도 등에 따라 수요가 크게 출렁이는 반면, 대형면적은 실수요 기반의 자산 보유층이 중심을 이루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고가 거래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8월에는 대형면적이 포함된 신규 아파트가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내 집 마련을 염두에 두고 있는 실수요자는 물론, 자산성과 희소성을 기반으로 투자 가치를 고려하는 이들에게도 주목해 볼 만한 분양 기회가 될 전망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은 8월 강원 춘천시 삼천동 22-11번지 일원에 짓는 ‘춘천 레이크시티 2차 아이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29층, 3개동, 전용면적 84·144㎡, 총 218가구로 공급된다. 1개동 전체를 전용면적 144㎡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삼천동 생태체험공원과 의암공원, 공지천, 의암호와 인접해 있어 수변과 공원 조망(일부)이 가능하다.
한화 건설부문은 8월 울산시 남구 무거동 1422번지 일원에 짓는 ‘한화포레나 울산무거’를 공급할 예정이다. 울산시 옛 한화케미칼 사택 부지를 개발해 지하 3층~지상 25층, 8개동, 전용면적 84~166㎡ 총 816가구로 공급된다.
대우건설은 8월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동 668-1번지 일원에 짓는 ‘서면 써밋 더뉴’를 선보일 계획이다. 옛 NC백화점 서면점 부지를 개발해 지하 8층~지상 47층, 4개동, 전용면적 84~147㎡, 총 919가구로 공급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역시 ‘거거익선’…대형면적, 가격 변동률 11.87% ‘압도적’
기사입력:2025-07-29 15:38: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5.22 | ▼40.44 |
코스닥 | 800.20 | ▼15.06 |
코스피200 | 430.15 | ▼6.4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244,000 | ▼1,007,000 |
비트코인캐시 | 787,000 | ▼8,000 |
이더리움 | 5,993,000 | ▼9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800 | ▼370 |
리플 | 4,154 | ▼54 |
퀀텀 | 2,900 | ▼3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65,000 | ▼1,116,000 |
이더리움 | 5,992,000 | ▼9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830 | ▼360 |
메탈 | 1,009 | ▼15 |
리스크 | 550 | ▼7 |
리플 | 4,155 | ▼53 |
에이다 | 1,277 | ▼13 |
스팀 | 182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200,000 | ▼1,020,000 |
비트코인캐시 | 787,000 | ▼7,500 |
이더리움 | 5,995,000 | ▼8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840 | ▼320 |
리플 | 4,155 | ▼50 |
퀀텀 | 2,900 | ▼72 |
이오타 | 280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