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누리호’ 기술이전 계약 체결

기사입력:2025-07-25 17:18:13
[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철, 이하 ‘항우연’)은 국내 독자 개발 우주 발사체 ‘누리호’의 개발 기술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 손재일)에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누리호 기술 이전은 국내에서 시도된 적 없는 우주발사체 전주기 기술의 첫 번째 민간 이전 사례로 우리나라 우주산업 생태계가 민간 주도 단계로 도약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 이전 목록은 양측 협의하에 결정되었으며 누리호 설계, 제작, 발사운영 등 발사체 개발 전주기 기술을 포함한다. 관련 기술문서만 1만 6,050건에 달할 정도로 방대하다. 누리호 발사대, 추진/엔진 시험설비 운용 및 시험기술, 참여업체별 고유 기술은 이전 대상에서 제외됐다.

기술이전료는 누리호 총 사업비가 아니라 이전 대상 기술 개발에 직접 투입된 연구개발비를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기술 가치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기술평가기관의 가치평가를 거쳤으며, 이를 바탕으로 양측이 협상을 통해 기술료 총액 240억원으로 합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총 306명의 항우연 전현직 연구자들에 대한 의견 수렴 및 동의 과정을 거쳤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본 계약을 통해 2032년까지 직접 누리호를 제작하고 발사할 수 있는 통상실시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앞으로 항우연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누리호 발사를 공동 수행하는 과정에서 누리호 제작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그동안 축적된 경험을 체계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교육, 세미나 등을 병행하며 원활한 기술이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항우연이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력과 끊임없는 개발 노력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기술이전을 바탕으로 누리호의 기술 및 비용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상업 발사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누리호 기술 이전은 공공이 축적한 성과가 민간으로 확장되는 분수령이자, 국내 발사체 산업 생태계 역량 강화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누리호 기술이 성공적으로 이전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는 한편 올 하반기 누리호 4차 발사 준비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0.09 ▼21.47
코스닥 777.61 ▼10.35
코스피200 423.66 ▼2.5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198,000 ▲330,000
비트코인캐시 773,000 ▲4,000
이더리움 5,916,000 ▲46,000
이더리움클래식 29,330 ▲230
리플 4,059 ▲41
퀀텀 2,816 ▲3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83,000 ▲339,000
이더리움 5,918,000 ▲41,000
이더리움클래식 29,330 ▲240
메탈 1,006 ▲5
리스크 538 ▲5
리플 4,059 ▲37
에이다 1,202 ▲14
스팀 17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70,000 ▲360,000
비트코인캐시 773,500 ▲4,500
이더리움 5,915,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9,330 ▲260
리플 4,058 ▲39
퀀텀 2,780 0
이오타 27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