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미그룹 창업주 고(故) 임성기 회장의 신약개발에 대한 철학과 유지를 잇기 위해 설립된 임성기재단이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분야의 탁월한 업적에 대해 시상하는 ‘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수상 후보자를 공모한다.
임성기재단(이사장 김창수)은 총 4억원의 상금을 수여하는 ‘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수상 후보자 공모를 오는 8월 31일까지 두 달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대상 1명에게 상금 3억원, 젊은연구자상 2명에게는 각 상금 5000만원을 수여한다.
국내 최고 권위의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분야 상인 임성기연구자상의 자격 기준은 한국인 또는 한국계 인사(해외 거주 포함)가 수행한 연구로서 생명공학, 의약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신약개발에 유용한 응용이 가능한 업적이어야 한다.
수상 대상 논문은 주로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로, 접수 마감일 기준 최근 5년(젊은연구자상은 3년) 이내의 기간에 전문학술지에 발표한 것으로 한정한다. 젊은연구자상은 만 45세 미만(1981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인 연구자만 신청할 수 있다.
후보자 추천은 임성기연구자상 시상 분야와 관련 있는 국내·외 전문 학회, 협회, 연구기관 및 대학의 장이거나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개인이 할 수 있다.
공모 신청자는 추천서 1부와 경력 및 공적서 1부, 대표 논문 1부, 관련 논문 최대 5편을 임성기재단 사무국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다만 국내·외에서 동일한 주제로 유사 규모의 상을 받았거나 응모 중인 논문은 제외한다.
수상자는 임성기연구자상 심사위원회의 심사와 재단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연말에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시상식은 내년 3월 중 개최되며, 일시 및 장소는 추후 공지될 예정이다. 공모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임성기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성기재단 김창수 이사장은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을 목표로 평생 R&D에 매진하며 끊임없이 도전해온 임성기 회장의 고귀한 정신을 계승하는 뜻깊은 시상”이라며 “임성기재단은 막대한 자금과 시간이 요구되는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분야에서 연구자들이 좌절하지 않고 오로지 혁신에 전념할 수 있도록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임성기재단, 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공모
기사입력:2025-07-01 17:53:0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65.16 | ▼24.49 |
코스닥 | 780.75 | ▼2.92 |
코스피200 | 413.00 | ▼3.2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882,000 | ▲334,000 |
비트코인캐시 | 691,500 | 0 |
이더리움 | 3,344,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120 | ▲130 |
리플 | 2,997 | ▲3 |
퀀텀 | 2,620 | ▲2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969,000 | ▲317,000 |
이더리움 | 3,345,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150 | ▲140 |
메탈 | 897 | ▲5 |
리스크 | 498 | ▲2 |
리플 | 3,000 | ▲6 |
에이다 | 760 | ▲6 |
스팀 | 17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000,000 | ▲380,000 |
비트코인캐시 | 694,500 | ▲3,000 |
이더리움 | 3,344,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200 | ▲190 |
리플 | 3,000 | ▲4 |
퀀텀 | 2,605 | ▲6 |
이오타 | 20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