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분당서울대병원은 본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 연구팀(이대목동병원 비뇨의학과 류호영 교수, 한양대구리병원 비뇨의학과 송병도 교수)이 비(非)근육 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치료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생체 지표를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고 1일 밝혔다.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은 방광 벽의 근육층까지 퍼지지 않은 비교적 초기 단계의 암으로, 전체 방광암 환자의 약 70%를 차지한다. 수술로 종양을 제거할 수 있지만 재발 위험이 높아, 수술 후 BCG(결핵균 유래 면역치료제)를 방광 안에 주입하는 보조 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BCG 치료 후에도 약 40%의 환자에게 방광암이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치료 반응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산성 환경은 면역 세포의 활성을 억제해 면역치료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팀은, 면역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BCG 치료 역시 이러한 산성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가정에서, 방광 내 산성도가 실제로 치료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팀은 2003년부터 2021년까지 방광암 절제 수술 후 BCG 치료를 받은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 환자 578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치료 전 소변이 pH 5.5 미만인 경우를 ‘산성 소변군’, 이상인 경우를 ‘비산성 소변군’으로 나눠 방광암 재발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산성 소변군의 재발률은 42.4%, 비산성 소변군은 33.8%로 확인돼 BCG 치료 후 재발률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 흡연력, 종양의 크기 및 개수 등 다른 재발 위험인자를 함께 고려한 다변량 분석에서도, 산성 소변은 방광암 재발 위험을 약 45% 높이는 독립적인 위험인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소변의 산성도가 BCG 치료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이를 예후 예측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를 바탕으로 치료 전 간단한 소변 검사를 통해 환자의 치료 반응을 예측하고, 향후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는 “비근육 침윤성 방광암은 치료 후에도 암이 재발하거나 치료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 환자에게 큰 부담이 되는 질환”이라며, “이번 연구는 소변검사와 같은 비침습적 방법으로도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향후 환자에게 부담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양대구리병원 비뇨의학과 송병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광 내 산성도를 조절함으로써 BCG 치료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분당서울대병원, 소변검사로 치료 반응 예측 가능성 제시..."산성도 높으면 방광암 재발 가능성"
기사입력:2025-07-01 15:21: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65.47 | ▼24.18 |
코스닥 | 780.66 | ▼3.01 |
코스피200 | 413.03 | ▼3.2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811,000 | ▲222,000 |
비트코인캐시 | 694,500 | ▲5,000 |
이더리움 | 3,344,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160 | ▲170 |
리플 | 2,998 | ▲5 |
퀀텀 | 2,620 | ▲2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902,000 | ▲242,000 |
이더리움 | 3,343,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170 | ▲150 |
메탈 | 903 | ▲12 |
리스크 | 497 | ▲2 |
리플 | 2,999 | ▲7 |
에이다 | 760 | ▲4 |
스팀 | 173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950,000 | ▲360,000 |
비트코인캐시 | 693,500 | ▲3,500 |
이더리움 | 3,347,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200 | ▲190 |
리플 | 3,000 | ▲5 |
퀀텀 | 2,605 | ▲6 |
이오타 | 20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