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한화오션 하청 노사가 1년여 진통끝에 임금단체협상(임단협) 타결에 따라 서울 한화그룹 본사 앞 30m 철탑에서 고공 농성을 해 온 김형수 전국금속노동조합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장이 19 일 오후 2 시에 농성을 해제하고 97 일 만에 땅을 밟았다 .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날 철탑에서 내려 온 김형수 지회장을 만나 악수를 나누기도 했다 .
그동안 거제와 서울을 오가며 노사 의견 조율에 힘썼던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장 , AI 강국위원회 AX 분과장 )이 적극 환영했다 .
이언주 최고위원은 “1 년 넘는 협상 끝에 드디어 임단협이 타결된 것을 환영한다. 특히 오랜 갈등을 대화로 해결하고 노사 간 고소 · 고발을 상호 취하하기로 한 것은 대승적 견지에서 상생과 협력을 실현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 고 밝혔다 .
이 최고위원은 “ 우리 조선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원청 ‧ 하청 ‧ 노 ‧ 사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산업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 ” 며 “ 오늘 한화오션과 거통고지회의 임단협 타결과 고공 농성 해제가 모두의 성장을 이뤄낼 의미있는 한 걸음이 될 것이다 . 앞으로 모두의 성장을 위해 힘을 다해 지원할 것” 이라고 덧붙였다 .
이 최고위원은 지난 3 월 거제 한화오션 천막농성장 방문 및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 (이하 거통고지회 ) 간담회 , 한화오션 사측 관계자 면담 및 소통 , 4 월 한화그룹 본사 고공 농성장 방문 및 한화그룹 관계자 면담 등 그동안 원만한 노사타협 설득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
이언주 최고위원은 그동안 특히 원청업체 · 하청업체 · 회사 · 근로자 등 구성원 모두가 성장을 통해 함께 과실을 누릴 수 있는 조선업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성장비전 , 즉 ‘ 모두의 성장 ’ 비전을 제시하는데 주력했다 .
지난 3 월에는 조선업 재도약을 뒷받침하기 위해 ▲ 조선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 ▲ 첨단조선업 생태계와 국내 숙련공을 국가가 유지 ‧ 관리 ▲ 차세대 첨단 선박의 기술개발과 실증화 촉진 ▲ 첨단조선업 클러스터 지정 ▲ 스마트야드 구축 및 스마트야드로의 전환 시책 마련 ▲ 첨단조선업 공급망안전품목 선정 및 수입위험 완화 사업 추진 ▲ 국외 방산 선박 등 수출 지원을 위한 해양방산수출진흥기금 설치 등의 내용을 담은 ' 첨단조선업의 경쟁력 강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 '( 이하 ' 첨단조선업 지원법 ') 을 발의했다 .
지난 5 월에는 조선업을 비롯해 철강‧배터리‧반도체 등 주력산업을 국가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 전환 및 경쟁력 강화 지원 특별법 」 ( 일명 주력산업 공동화 방지법) 을 발의했다 .
이 법안은 방산‧철강‧배터리‧반도체‧조선‧석유화학‧자동차 등 위기에 처한 국가 주력산업의 재구조화 , 고부가가치 전환 ,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으로 ▲ 주력산업의 재구조화 지원 ▲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 전환 지원 ▲ 주력산업의 R&D 전략적 투자 및 보조금 지원 ▲ 주력산업의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지원 ▲ 주력산업의 전후방 연관산업에 대한 지원 ▲ 주력산업의 공급망 강화를 위한 금융투자 및 출연 등의 내용이 골자다 .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이언주 의원, “한화오션 하청 노사 임단협 타결 환영”
“ 원청‧하청‧노사 동반성장 중요 … 조선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쓸 것 ” 기사입력:2025-06-19 22:19:3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27.44 | ▲55.74 |
코스닥 | 786.69 | ▲5.19 |
코스피200 | 421.90 | ▲7.3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864,000 | ▲69,000 |
비트코인캐시 | 709,000 | ▲20,500 |
이더리움 | 3,387,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520 | ▼10 |
리플 | 3,044 | ▲1 |
퀀텀 | 2,659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978,000 | ▲296,000 |
이더리움 | 3,38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540 | ▲30 |
메탈 | 894 | ▼7 |
리스크 | 505 | ▲1 |
리플 | 3,045 | ▲5 |
에이다 | 779 | ▲3 |
스팀 | 17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90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708,000 | ▲20,000 |
이더리움 | 3,387,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550 | ▲90 |
리플 | 3,045 | ▲2 |
퀀텀 | 2,664 | 0 |
이오타 | 21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