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IMO 설득 끝에 바이오선박유 운송길 포문

기사입력:2025-05-14 10:36:58
지난 4월 7~11일 영국 런던 IMO본부에서 개최된 83차 MEPC(해양환경보호위원회)회의 장면.(사진=IMO공식홈페이지)

지난 4월 7~11일 영국 런던 IMO본부에서 개최된 83차 MEPC(해양환경보호위원회)회의 장면.(사진=IMO공식홈페이지)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GS칼텍스(대표 허세홍 사장)가 끈질긴 노력으로 민관협력을 통해 국제해사기구(IMO)를 설득, 바이오연료 30%가 함유된 ‘B30 선박유’의 일반 급유선 운송이 가능하도록 규제 개선을 이끌어냄으로써 글로벌 탄소저감 해상연료 시장의 공급확대에 중요한 전기가 마련됐다.

IMO는 지난 4월 7일부터 11일까지 개최된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회의에서 ‘B30 바이오선박유’의 일반 급유선 운송을 허용하는 내용으로 규정을 개정했다.

이번 IMO의 규정 변경이 있기까지 GS칼텍스는 그 필요성을 해양수산부에 선제적으로 건의했고, 정부 대표단의 자문역으로 IMO 산하 국제회의에 참석해 과학적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B30 바이오선박유의 안정성을 적극 설득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동안 IMO는 바이오연료 혼합률이 25%를 초과하는 선박유는 화학물질(Chemical)로 분류하여 B30 바이오선박유의 일반 급유선 운송을 제한해왔으며, 일부 국가에서만 예외적으로 30%까지 허용해 저탄소 선박유 시장 확대에 걸림돌이 되어왔다.

GS칼텍스는 해양수산부 및 한국선급과의 협의를 통해 지난 2024년 81차 MEPC 회의에서 B30 선박유의 일반선 운송 허용안을 최초 제안했으나, 당시에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GS칼텍스는 정책1팀, Biofuel Trading팀, 런던지사(GSPL) 등 3개 조직으로 TF를 구성해 해양수산부 및 한국선급과 긴밀한 협업을 지속했다.

특히 TF는 2024년 10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IMO 산하 ESPH(화학물질 오염위험 및 안전평가에 관한 기술그룹) 30차 회의에 해수부 및 한국선급 관계자들과 함께 정부 대표단의 일원으로 직접 참석해 자문역을 수행하며 회원국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설득 활동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GS칼텍스 정책1팀 임찬수 책임은 고비용의 실증실험을 대체해 B30의 운송·보건·환경 유해성이 기존 화석 연료보다 낮다는 학술 기반 분석자료를 제시했고, 그 결과 정부의 IMO 제안 문서에 반영되는 등 이번 규정 변경에서 중요한 근거로 활용됐다고 GS칼텍스는 설명했다.

이번 글로벌 규제 개선은 GS칼텍스 내부 조직 간 긴밀한 협업, 해양수산부 및 한국선급과 함께 전개한 치밀한 국제적 협상, 과학적 기술에 기반한 정책 제안이 성공적으로 어우러진 대표적인 민관 협력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GS칼텍스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단순한 정책 변화를 넘어 한국 기업이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구조적인 변화에 주도적으로 기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해양수산부의 적극적인 지원, 한국선급의 전문성과 헌신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성과였던 만큼, 앞으로도 정부, 산업계, 해외 네트워크와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40.57 ▲32.15
코스닥 739.05 ▲7.17
코스피200 351.79 ▲4.6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533,000 ▼158,000
비트코인캐시 569,000 0
이더리움 3,671,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7,990 0
리플 3,614 ▲9
이오스 1,135 ▼7
퀀텀 3,523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630,000 ▼48,000
이더리움 3,674,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7,990 ▲40
메탈 1,251 ▲3
리스크 796 ▲3
리플 3,614 ▲6
에이다 1,130 ▲2
스팀 22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570,000 ▼70,000
비트코인캐시 569,000 ▲500
이더리움 3,66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8,000 ▲20
리플 3,615 ▲10
퀀텀 3,515 ▲14
이오타 34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