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동아시아학술원 존경각(尊經閣) 소장 귀중본 해제집 『존경보장(尊經寶藏)』이 발간됐다. 존경각은 본래 조선의 국립대학인 성균관의 도서관으로, 2000년 동아시아학술원에 신설된 고서 전문 도서관에 이 명칭을 살려 사용하고 있다.
7일 성균관대에 따르면 제1부 '성균관과 책의 역사'에서는 성균관의 도서관인 존경각의 역사를 되짚어 보고, 성균관에서 간행된 경서(經書)를 소개함으로써 간행처로서의 성균관을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제2부 '고문헌 해제'에서는 동아시아학술원 존경각이 설립된 이래 수집된 고문헌·고문서 중 정수라고 할 수 있는 귀중본 고문헌들에 대한 서지정보와 해제를 수록하고 있다. 해당 고문헌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도판 자료를 충실히 수록하고 있다.
해제집 수록 고문헌은 기존에 귀중본으로 지정한 고문헌 중 1592년 임진왜란 이전 조선 간행본과 중국 명나라 간행본, 희귀한 고문서 일부를 대상으로 한다. 해제집에 소개된 고문헌 가운데 보물로 지정된 '춘추경좌씨전구해(春秋經左氏傳句解)'·'유설경학대장(類說經學隊仗)' 등은 존경각 개관이래 수집·정리해 온 대표적인 문헌이라 할 수 있다.
'존경보장'에는 경부(經部) 17종, 사부(史部) 28종, 자부(子部) 41종, 집부(集部) 45종의 고서(古書)가 수록되어 있고 3종의 고문서(古文書)가 수록되어 있다. 4명의 서지학 전문가가 서지 해제를 담당했으며, 20여 명의 전문 해제위원이 내용 해제를 담당했다.
'존경보장'에 수록된 134종의 고문헌은 존경각 소장 도서의 극히 일부에 해당한다. '존경보장'의 발간을 계기로 향후 지속적으로 존경각 소장 고문헌 해제집을 발간하고자 존경각 소장 고문헌의 전수 조사를 위해 디지타이징(Digitizing)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성균관대 관계자는 "존경각 최초의 해제집인 '존경보장'의 발간을 통해 존경각 소장 고문헌에 대한 관심이 환기되고, 그 가치가 널리 알려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성균관대, 존경각(尊經閣) 최초의 귀중본 해제집 발간
기사입력:2025-05-07 15:22:5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14.47 | ▼7.37 |
코스닥 | 784.79 | ▼6.74 |
코스피200 | 404.32 | ▼1.0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1,981,000 | ▲374,000 |
비트코인캐시 | 636,000 | ▲3,000 |
이더리움 | 3,167,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620 | ▲150 |
리플 | 2,820 | ▲21 |
퀀텀 | 2,587 | ▲2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2,048,000 | ▲443,000 |
이더리움 | 3,163,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610 | ▲120 |
메탈 | 886 | ▲6 |
리스크 | 494 | ▲1 |
리플 | 2,821 | ▲22 |
에이다 | 765 | ▲5 |
스팀 | 16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2,050,000 | ▲400,000 |
비트코인캐시 | 639,500 | ▲5,500 |
이더리움 | 3,169,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1,620 | ▲140 |
리플 | 2,821 | ▲24 |
퀀텀 | 2,585 | ▲32 |
이오타 | 21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