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2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안건 상정된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의과정에서 효과적인 산불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예산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회 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영암·무안·신안) 국회의원은 정부가 편성한 올해 추경안 중 ‘산림헬기도입운영사업’ 관련 “정부는 50여 년 전 제작 헬기를 활용하는 재제작 헬기 3대 도입에 495억원을 반영했다”라며 “기체가 구형 제품이라 안전성 및 ka-32처럼 부품 수급의 어려움이 있고 예산 추계도 2년 전 기준으로 편성돼 물가·관세 상승에 따른 공모 유찰이 우려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서 의원은 “2022년부터 러-우 전쟁에 따른 ka-32의 부품 부족 문제로 대형헬기 R&D 필요성을 제기한 만큼 산림청·국방부·행안부·경찰청·해경청·소방청 등 여러 부처 차원의 연구개발 추진으로 국산 대형 진화 헬기를 제작해야 한다”면서 “해양경찰청의 (해양경찰장비법)처럼 가칭 (산림장비법)을 제정해 최신기술을 활용한 우수 장비를 도입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한편 구제역 확산에도 적절한 예산 지원이 없는 정부의 실태도 질타했다. 서삼석 의원은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라 농식품부는 전염병 확산 우려로 출입을 통제할 경우 발생 비용을 지원토록 규정하고 있으나 교부액은 턱없이 부족해 법을 무시한 정부의 대응이 무책임하다”며 “지급 시기 역시 적절해야 전염병 예방과 확산을 쉽게 차단할 수 있어 추가 예산 배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산불진화대원의 장비 부실 문제에 대한 개선도 요구했다. “산불진화대는 현장에서 생사를 넘나들지만 곰팡이 핀 헬멧을 보급 받거나 사비로 진화복을 사는 등 처우가 열악해 진화장비 개선을 위한 모금까지 진행된다”라며 “추경안에 모든 진화대원에게 관련 장비를 보급할 수 있는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산불진화차와 대원의 현장 투입을 위한 임도의 설계 고도화도 제시했다. 서삼석 의원은 “임도가 산사태의 주범인 양 보도되고 있다”며 “길이 연장과 예산에 따른 임도 구축이 아닌 기간이 소요되더라도 설계·시공 과정을 강화해 임도의 효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긴급벌채를 위해 편성된 예산에 대해서도 비판이 이어졌다. 정부의 ‘산림재해대책비’가 실제 피해 면적인 10만여ha가 아닌 산불영향구역 면적인 4만8천여ha로 마련된 것으로 드러났다. 산림재해대책비 중 긴급벌채 비용은 1175억원으로 실제 피해 면적의 3%인 2463ha에 불과했다.
이에 서 의원은 “나머지 97%의 피해지역은 복구 시급성이 떨어지는 것인지 의문이다”라며 “신속히 실제 산불피해 면적을 고려하여 복구금액을 산출한 후 산림재해대책비를 재차 증액해야 한다”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한편 서삼석 의원은 “산불의 대형화로 인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며 “국회 농해수위 차원에서 산림청의 헬기 임차 사업을 비롯한 필요 사업의 예산 증액을 제안한다”라고 힘줘 말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서삼석 의원 “효과적 산불대응체계 구축 위한 추경안 마련돼야”
기사입력:2025-04-24 23:39:2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47.94 | ▼17.48 |
코스닥 | 716.27 | ▼10.19 |
코스피200 | 337.51 | ▼1.5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97,000 | ▼233,000 |
비트코인캐시 | 523,500 | ▼6,000 |
이더리움 | 2,594,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10 | ▼90 |
리플 | 3,237 | ▼1 |
이오스 | 992 | ▼2 |
퀀텀 | 3,124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395,000 | ▼285,000 |
이더리움 | 2,594,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20 | ▼90 |
메탈 | 1,210 | ▼3 |
리스크 | 770 | ▼4 |
리플 | 3,235 | ▼3 |
에이다 | 1,003 | ▼7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30,000 | ▼240,000 |
비트코인캐시 | 523,500 | ▼5,500 |
이더리움 | 2,595,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80 | ▼110 |
리플 | 3,238 | 0 |
퀀텀 | 3,124 | 0 |
이오타 | 30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