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방송이슈] 펀블, KOTRA ‘글로벌 서비스 거점 사업’ 최종 선정 外

기사입력:2025-04-09 15:34:14
[로이슈 편도욱 기자] 실물자산 기반의 토큰증권 플랫폼을 운영하는 펀블(Funble, 대표 조찬식)이 KOTRA(코트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주관하는 2025년 서비스 거점 구축 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되며, 글로벌 시장 확대 본격화에 나섰다고 밝혔다.

펀블은 이번 사업을 통해 중동(두바이)에 위치한 KOTRA 해외 무역관 내 ‘서비스 거점’을 활용하여,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협력 파트너 확보, 현지 네트워크 구축, 시장조사 및 마케팅 지원, 비즈니스 자문 등 종합적인 밀착 지원을 받게 된다.

펀블은 두바이를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현지 파트너 및 기관과 협력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업 기반을 마련하고, 단계적으로 해외 진출국가들을 늘려갈 계획이다.

펀블 관계자는 “KOTRA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해외 서비스 거점을 적극 활용해 두바이를 시작으로 향후 북미, 유럽, 아시아 주요 국가로 서비스 거점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뢰받는 디지털 자산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브컴퍼니, AI 글로벌 인플루언서 발굴 서비스 첫 공개하며 DMS 2025 참가

바이브컴퍼니는 4월 10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디지털 마케팅 서밋 2025(DMS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은 DMS는 ‘마케팅의 미래를 만나다’를 주제로 글로벌 기업의 마케팅 리더와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다.

바이브컴퍼니는 이번 행사에서 △AI 글로벌 인플루언서 발굴 서비스 ‘후택(WHOTAG)’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썸트렌드(Sometrend)’ △트렌드 큐레이션 서비스 ‘생활변화관측소’ 등 세 가지 주요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 중 ‘후택’은 DMS 2025에서 처음 공개되는 서비스다. 전 세계 60개국 인플루언서 활동을 AI로 분석해 콘텐츠 퀄리티, 진정성, 도달률 등 지수를 기반으로 브랜드에 적합한 협업 대상을 발굴하고, 협업 제안용 콘텐츠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바이브컴퍼니는 이번 DMS를 통해 인플루언서 탐색, 제안, 콘텐츠 실행까지 이어지는 마케팅 워크플로우 안에서 AI가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실무자의 반응을 확인하고, 향후 서비스 고도화에 반영할 예정이다.

◆로커스체인, 공개 테스트넷 정식 개방

차세대 블록체인 기술의 정점을 추구하는 로커스체인은 누구나 참여 가능한 상시 오픈 형태의 공개 테스트넷을 전격 개방했다고 밝혔다. 로커스체인은 이번 테스트넷을 통해 자사의 스마트 컨트랙트와 NFT 민팅 기능 등 주요 기술을 실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집중 점검하며 기술적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동시에 개발자 생태계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테스트넷은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실질적인 기술 검증과 개발자 참여를 통한 생태계 확장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기술 테스트 단계다. 로커스체인 메인넷과 동일한 구조와 아키텍쳐, 그리고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퍼포먼스 수준까지 동일하게 설계된 버전으로 기능적 완성도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안정성과 확장성 측면까지 종합적으로 점검된다. 로커스체인은 테스트넷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개선과 디버깅을 진행한 후 기술적 안정성이 확보된 요소부터 메인넷에 순차 반영할 계획이다. 이번 테스트넷은 단순한 기능 확인을 넘어 퍼블릭 블록체인의 기술적 한계를 실질적으로 점검하고 뛰어넘기 위한 공개 기술 검증 무대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로커스체인 공개 테스트넷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개발할 수 있는 전용 IDE와 NFT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이 함께 제공된다. 개발자는 로커스체인에서 솔리디티(Solidity) 언어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고 구현 도구를 활용해 다양한 조건에서 배포와 실행을 직접 해볼 수 있다. 이에 솔리디티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개발자라면 로커스체인에서도 별도의 학습 없이 기존과 비슷한 방식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PREVM 채널을 이용해 빠른 반응 속도로 테스트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VME (Virtual Machine Engine)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부하와 안정성까지 점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커스체인의 범용 어셋 지원 기능을 이용해 NFT를 직접 민팅하고 토큰을 생성하거나 거래할 수 있을 예정이다. NFT 민팅은 별도로 제공되는 전용 페이지에서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생성한 디지털 자산은 직접 관리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단순한 NFT 발행을 넘어 정보 기반 토큰으로의 확장까지 가능한 시스템으로 설계됐다. 해당 기능은 테스트넷 안정화 단계를 거친 후 적용될 예정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1.05 ▼14.37
코스닥 716.24 ▼10.22
코스피200 337.90 ▼1.1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591,000 ▲4,000
비트코인캐시 528,500 ▲8,500
이더리움 2,603,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190 ▲70
리플 3,235 ▲5
이오스 990 0
퀀텀 3,142 ▲1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610,000 ▼35,000
이더리움 2,605,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180 ▲20
메탈 1,212 0
리스크 773 ▲4
리플 3,235 ▲8
에이다 1,007 ▼2
스팀 21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61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529,000 ▲8,500
이더리움 2,603,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210 ▲20
리플 3,237 ▲8
퀀텀 3,124 0
이오타 302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