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윌 “성인 10명 중 8명, 신조어 때문에 세대 간 대화 어려움 겪어"

기사입력:2025-03-18 15:54:18
[로이슈 전여송 기자]
성인 10명 중 8명은 신조어 사용으로 인해 세대 간 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교육기업 에듀윌(대표 양형남)이 20~50대 성인 남녀 7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조어’ 관련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9.1%가 부모, 자녀, 직장 동료 등 다른 세대와 대화할 때 신조어 때문에 어려움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18일 밝혔다.

응답 비율을 살펴보면 ‘가끔 있다’는 응답이 60.6%로 가장 많았고, ‘자주 있다’는 18.5%로 뒤를 이었다. 반면 ‘거의 없다’는 17.9%, ‘전혀 없다’는 2.9%에 불과했다.

신조어가 세대 간 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묻자, 응답자의 47.1%가 신조어가 세대 간 거리감을 형성하고 의사소통을 단절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반면, 27.7%는 공감대 형성과 재미 요소를 제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했다.

본인의 신조어 이해도를 묻는 질문에는 47.4%가 ‘자주 듣는 신조어는 이해할 수 있다’고 답했다. 32.1%는 ‘가끔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했으며, 11.4%는 ‘대부분의 신조어를 이해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9.1%는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신조어 사용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너무 빠르게 변해서 따라가기 어렵다’는 응답이 35.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세대 차이를 느끼게 한다’(33.6%), ‘재미있고 유용하다’(22.1%), ‘언어 파괴로 부정적이다’(8.7%)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자주 사용하는 신조어 유형으로는 ‘갑분싸’, ‘혼코노’, ‘별다줄’ 등 줄임말이 36.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플렉스’, ‘레트로’ 등 외래어 및 외국어 변형(21.2%), ‘스불재’, ‘오운완’, ‘삼귀다’ 등 신조어 조합(20.8%), ‘킹받네’, ‘ㄱㄱ’ 등 인터넷∙SNS 용어(20.3%)가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에듀윌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 신조어는 세대 간 소통의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며,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언어 환경에서 상호 이해를 돕기 위해 신조어에 대한 관심과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47.02 ▼18.40
코스닥 715.93 ▼10.53
코스피200 337.38 ▼1.6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530,000 ▼101,000
비트코인캐시 524,500 ▼3,000
이더리움 2,591,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090 ▼90
리플 3,234 ▲2
이오스 992 ▼1
퀀텀 3,12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560,000 ▼10,000
이더리움 2,592,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4,100 ▼80
메탈 1,210 ▲2
리스크 769 ▼0
리플 3,234 ▲2
에이다 1,004 ▼6
스팀 21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53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524,500 ▼3,000
이더리움 2,591,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080 ▼60
리플 3,237 ▲3
퀀텀 3,124 0
이오타 304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