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올 하반기 수도권 대기업 상승효과 기대되는 분양단지 ‘주목’대기업 상승효과가 기대되는 수도권 유망지역이 눈길을 끌고 있다. 대기업이 들어선 산업단지가 인접한 아파트를 중심으로 뚜렷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단지 인근 아파트는 높은 주거 가치를 평가받는다. 산업단지 입주 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를 중심으로 주택 수요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또 일자리로 인해 인구 유입이 활발히 이뤄진다는 점에서 주변에 각종 생활편의시설도 신속하게 구축된다.
특히 삼성 등 대기업이 입주한 산업단지라면 상승효과는 더욱 커진다. 대기업은 해당 기업 종사자와 함께 계열사 및 협력사들도 같이 입주하는 경우가 많아 대규모 일자리 창출이 이뤄져, 주택 수요가 급증한다. 주택 공급 대비 수요가 몰리는 곳은 환금성도 우수해 부동산 가치를 상승시키기 마련이다.
◆ 삼성 등 대기업 인근 아파트, 지역 평균 웃도는 집값 상승률로 주거 가치 ‘고공행진’
실제 대기업 산업단지 인근 아파트는 지역 평균을 크게 웃도는 집값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소재 ‘매교역 푸르지오 SK뷰’ 전용 84㎡는 올해 11월 9억7,900만원(15층)에 매매됐다. 이는 지난해 11월 실거래가 6억9,000만원(19층)보다 3억원 가까이 상승한 금액이다. 이 단지 인근에는 삼성전자 본사가 자리한 삼성디지털시티가 자리하고 있다. 최근 1년 동안 수원시 전체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5%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결과다.
또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소재 ‘블루밍 구성 더 센트럴’ 전용 84㎡는 올해 10월 8억2,000만원(8층)의 실거래가를 기록했다. 1년 전 같은 달 실거래가 7억4,500만원(5층)보다 7,500만원이 올랐다. 용인시에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대규모 투자를 예고한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개발이 진행 중으로 이에 따른 상승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삼성전자 수원사업장과 화성 일반산업단지가 인접한 경기 화성시 반월동 소재 ‘나노시티역 롯데캐슬’ 전용 84㎡는 올해 9월 실거래가가 7억7,000만원(16층)으로 작년 말 실거래가 6억8,000만원(16층)보다 약 1억원이 올랐다. 같은 기간 화성시 전체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보합세 수준에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 ‘대기업 상승효과’ 기대되는 수도권 유망 분양단지 어디?
신동아건설과 모아종합건설은 11월 중 평택 고덕국제신도시에서 ‘고덕국제신도시 미래도 파밀리에’ 전용 84·99㎡ 총 642세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고덕국제신도시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가 자리한다. 특히 향후 삼성반도체와 긴밀하게 연계되는 지식기반 첨단산업 클러스터 ‘고덕 R&D 테크노밸리’도 주변에 들어설 예정이다. 이에 따라 풍부한 주택 수요가 형성돼 대기업 상승효과가 두드러질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에서는 동문건설이 ‘파주 문산역 3차 동문 디 이스트 센트럴’을 이달 공급한다. 전용 59~84㎡ 총 951세대 규모로 이 가운데 748세대가 일반에 분양된다. 인근에 LG디스플레이가 있는 파주 LCD 일반산업단지가 자리하며, 탄현 국가산업단지 등도 가깝다.
현대건설은 경기도 이천시에서 ‘힐스테이트 이천역’ 전용 60~136㎡ 총 1,822세대를 분양 중이다. SK하이닉스 본사를 비롯해 오비맥주, 하이트진로 등 다수의 대기업과 중견기업들이 인근에 자리해 직주근접 여건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대기업 상승효과”…워크시티(Work City) 부동산 상승효과 ‘주목’
기사입력:2024-11-13 17:18:2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720,000 | ▼182,000 |
비트코인캐시 | 528,000 | ▼1,000 |
이더리움 | 2,604,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60 | ▼190 |
리플 | 3,170 | ▼16 |
이오스 | 968 | ▼5 |
퀀텀 | 3,117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797,000 | ▼232,000 |
이더리움 | 2,605,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00 | ▼160 |
메탈 | 1,203 | ▼5 |
리스크 | 784 | ▼8 |
리플 | 3,170 | ▼21 |
에이다 | 995 | ▼3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820,000 | ▼200,000 |
비트코인캐시 | 528,500 | ▼3,000 |
이더리움 | 2,606,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00 | ▼140 |
리플 | 3,170 | ▼20 |
퀀텀 | 3,102 | 0 |
이오타 | 2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