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최근 3년간 경기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과천, 양주, 화성 순으로 나타났다. 과천과 양주는 20% 넘게 상승해 주변 시(市) 거주자들을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주 여건이 좋은 곳에 새 아파트가 공급되고, 서울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사람이 몰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행정안전부 행정동별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3년(2021년 9월~2024년 9월) 동안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22.5% 늘어난 과천으로 나타났다. 이어 양주가 21.1%로 2위를 기록했고, 화성이 9.4% 증가해 3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 전체 평균 인구 증가율은 1.0%다.
이들 도시는 대규모 주택 공급이 많았고, 서울 중심의 교통호재가 개선된 것이 이유로 꼽힌다. 과천은 준강남 입지에 재건축과 지식정보타운 내 공공주택 공급 이어졌고, 화성도 올해 3월 동탄역에 GTX-A노선이 개통된데다, 동탄2, 봉담지구 등에 입주가 이어져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양주 역시 호재가 타난하다. 덕계역에 GTX-C노선이 정차 예정이고, 옥정신도시 입주에 기존 1호선 뿐만 아니라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도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 향후 교통망 개선도 ‘인(IN) 양주’에 힘을 보탰다. 서울~양주 고속도로(계획), 동부간선도로 지하화(예정) 등이 추진 중이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도 양주에서 서쪽을 잇는 파주~김포 구간 역시 공사가 한창이며, 양주~파주 구간은 올해 말 계통 예정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인구 증가는 단순히 주택 공급 때문이 아니라 인프라 개선과 더불어 정주 여건의 질적 향상이 맞물려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며 “특히 GTX 개통과 같은 광역 교통망 확충은 서울 접근성을 극대화하여 경기권 주거 선호도를 크게 높였고, 이에 따라 수도권 외곽 지역 인구 유입과 부동산 가치 상승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들 지역 내 분양을 앞둔 새 아파트에도 관심이 쏠린다.
먼저 양주에서는 한신공영이 시공하는 ‘덕계역 한신더휴 포레스트’ 아파트가 10월 말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75·84㎡ 총 724가구로 조성된다. 지하철 1호선 덕계역을 이용 가능하며, 덕정역에서 왕십리, 삼성역 등을 잇는 GTX-C(계획) 개통이 계획돼 있다. 여기에 입주민을 위한 셔틀버스(주요 동선 운행)도 제공 예정이며, 단지 내 종로엠스쿨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입주민 자녀들은 다양한 교육 특화 서비스를 편리하게 누릴 수 있다.
덕계역 한신더휴 포레스트 분양 관계자는 “연천, 동두천, 포천 등 이른바 경기 북부 ‘삼천’ 지역에서 양주로 유입이 많았고, 탈 서울로 내 집 마련에 나서려는 고객들의 문의도 꾸준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밖에 과천에서는 GS건설이 ‘프레스티어자이’ 당첨자 계약을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한다. 총 1445가구 대단지로 정부과천청사역이 도보 3분 거리에 위치한다. 화성도 연내 남양뉴타운에서 328가구, 장안지구에서 1500여 가구 공급이 계획돼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서울行 교통망 개선”…‘경기 양주·과천·화성’에 투자자 몰린다
기사입력:2024-10-23 20:40: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120,000 | ▼230,000 |
비트코인캐시 | 526,000 | ▼3,000 |
이더리움 | 2,58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70 | ▼160 |
리플 | 3,167 | ▼9 |
이오스 | 978 | ▼7 |
퀀텀 | 3,100 | ▼1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235,000 | ▼265,000 |
이더리움 | 2,586,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80 | ▼120 |
메탈 | 1,209 | 0 |
리스크 | 781 | ▲1 |
리플 | 3,170 | ▼6 |
에이다 | 986 | ▼5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060,000 | ▼370,000 |
비트코인캐시 | 526,500 | ▼3,000 |
이더리움 | 2,586,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70 | ▼130 |
리플 | 3,169 | ▼9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