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AI자동투자 콴텍이 선보인 퇴직연금 알고리즘이 3개월 수익률 1∙2위를 석권했다.
콴텍의 ▲예일대기금형 미국형 ▲유대인삼분법 헤지형이 코스콤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센터 심사를 통과한 139개 적극투자형 알고리즘 가운데 3개월 수익률 순위에서 1∙2위를 차지(2024년 9월 25일 기준)했다.
콴텍은 상위 2개를 포함해 총 9개의 퇴직연금 알고리즘이 3개월 수익률 순위 10위 내에 들었고, 6개월 수익률에서도 총 8개의 퇴직연금 알고리즘이 10위 안에 드는 등 월등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1위에 오른 ‘예일대기금형 미국형’은 30%를 미국 주식 ETF로 설정해 미국지수를 추종하되 좀 더 안정적인 성과를 내도록 구성한 상품으로, 3개월 간 7.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6%), S&P500(5%)과 비교해서도 눈에 띄는 성과다.
누적 수익률에서도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누적 수익률 상위 10개 중 콴텍 퇴직연금 알고리즘이 40%를 차지(2023년 12월 11일 ~ 2024년 9월 25일 기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황금나비 자산배분에 기반한 ‘콴텍 황금나비 선진국’은 18.84% 누적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다.
콴텍은 이르면 연내 도입 예정인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NH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등 국내 주요 증권사와의 제휴를 확대해왔다. 올해는 신한은행, NH농협은행, 우리은행 등 업계에서 가장 많은 시중은행과 제휴를 체결했다. 콴텍은 자체 개발한 50개의 퇴직연금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투자자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제공할 예정이다.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넥스파우더 호주 판매 승인 획득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이 호주에도 진출하며,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혁신형 치료제 개발 및 수출 기업 넥스트바이오메디컬(389650, 대표이사 이돈행)이 내시경용 지혈재 ‘넥스파우더(Nexpowder™)’의 호주 판매 승인을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미국, 캐나다, 유럽 등 호주에서도 글로벌 판매를 본격화할 전망이다.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호주 의약품관리국(TGA)로부터 '넥스파우더'에 대한 판매 허가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번 호주 승인으로 시장 범위를 더욱 확대하게 됐다. 회사는 빠른 제품 출시 준비로 호주 내 출시를 앞당길 예정이다.
넥스파우더는 위장관 출혈 시 내시경을 통해 파우더를 도포해 출혈 부위를 지혈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출혈 및 재출혈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파우더 타입의 지혈 치료재다. 해당 제품은 한국 식약처 MFDS, 미국 FDA, 유럽 CE-MDR 등 인허가를 획득했고 2020년 세계 최대 규모의 의료기기 회사 메드트로닉(시가총액 180조 원)과 글로벌 판권(한국, 일본, 중화권 제외) 계약을 체결해 현재 미국, 캐나다, 유럽을 포함한 29개국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미소정보기술, 아시아 최대 의료IT학회 ‘HIMSS24 APAC’에서 임상연구솔루션 ‘CRaaS’ 공개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 미소정보기술이 오는 10월 2일부터 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의료정보기술학회(이하, HIMSS24 APAC)에 참가해 의료데이터를 활용하는 임상연구의 비용 시간을 줄이고 데이터 품질에 최적화된 워크플로우(Workflow) 전과정을 제공하는 임상연구지원 통합솔루션‘CRaaS(Clinical Research as a Service, 이하 CRaaS)를 선보인다.
‘HIMSS(Healthcar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Society)24 APAC’ 행사에는 인공지능(AI) · 빅데이터 분석 · 클라우드등 최신 의료정보기술이 병원 운영과 의료서비스 개선에 어떻게 적용되고 혁신을 만들어 내고 있는지 관련해 30개국, 2,000여명의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또한 대한병원협회가 주최하는 ‘KHF(국제 병원 및 헬스테크 박람회)2024' 행사와 동시 진행된다.
미소정보기술은 병원에 임상 데이터 웨어하우스(CDW)구축, 의료데이터 분석 워크플로우 전과정을 제공하는 임상분석통합솔루션 'CRaaS(Clinical Research as a Service)'와 연세의료원, 전남대병원, 건국대병원등 생성형AI를 위한 차세대 의료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스마트빅(smartBIG)'구축, 데이터품질진단(SaaS)서비스, 식약처 의료기기 제조 'GMP' 인증등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미소정보기술 전시부스(H26)에서는 의료데이터 통합 분석 및 시각화 솔루션(스마트CDW), 병원 판독문서비스(스마트TA), 데이터 심의 솔루션 '스마트DRB, 임상연구지원 통합솔루션‘CRaaS(Clinical Research as a Service, 이하 CRaaS)등을 선보인다. 그 외에도 개인건강기록(PHR)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예측ㆍ예방ㆍ생활관리법까지 제시하기 위해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이슈] AI자동투자 콴텍, 퇴직연금 알고리즘 3개월 수익률 1~2위 석권 外
기사입력:2024-09-26 17:43:5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12.34 | ▲1.65 |
코스닥 | 745.54 | ▲2.03 |
코스피200 | 347.84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0,636,000 | ▲269,000 |
비트코인캐시 | 489,100 | ▲1,800 |
비트코인골드 | 4,474 | ▼9 |
이더리움 | 2,798,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60 | ▲130 |
리플 | 3,320 | ▲10 |
이오스 | 750 | ▲22 |
퀀텀 | 3,179 | ▲2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0,714,000 | ▲301,000 |
이더리움 | 2,800,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700 | ▲150 |
메탈 | 1,103 | ▲6 |
리스크 | 811 | ▲10 |
리플 | 3,320 | ▲6 |
에이다 | 1,020 | ▼1 |
스팀 | 19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0,760,000 | ▲320,000 |
비트코인캐시 | 489,100 | ▲1,500 |
비트코인골드 | 3,900 | 0 |
이더리움 | 2,802,000 | ▲2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70 | ▲150 |
리플 | 3,325 | ▲12 |
퀀텀 | 3,160 | ▲22 |
이오타 | 25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