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진주소방서(서장 조형용)는 20일 리튬이온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로, 높은 에너지 밀도·빠른 충전 속도·가벼움 등의 장점으로 인해 휴대용 전자기기 및 산업장비에 널리 사용됨에 따라 사용 시 각별한 주의와 함께 구매·사용·충전시 사고 예방법을 소개했다.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건수는 총 612건으로 매년 화재 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 상황별로는 과충전으로 인한 화재가 312건(51%)로 가장 많았고, 화재 제품별로는 전동킥보드가 467건(76%)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튬이온배터리 사고 예방을 위해 반드시 기억해야 할 사고 예방법은 다음과 같다.
◇구매 시 KC공식인증 제품(배터리 및 충전기 포함)을 구매하도록 하고, ◇사용 시에는 ▲사용 설명서에 따라 이용(사용 및 폐기시 제조사의안전지침 및 규정 준수) ▲파손된 배터리 사용 금지 ▲사용 중 고온(직사광선 등) 및 충격주의 ▲배터리 단락 방지를 위해 습도 높은 장소 피하기 ▲이상한 냄새, 소리 변색 등 이상 증상 시 사용금지 등이다.
또 ◇충전 시에는 ▲배게 아래, 침대나 소파 위에서 제품 충전금지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탈출로(현관 등)에서 충전금지 ▲충전 완료 후, 코드를 뽑거나 배터리 연결선 제거 ▲고용량 배터리 충전은 벽면 콘센트에 직접 연결 ▲과충전 또는 방전상태 확인 등이다.
조형용 서장은 “일상 속 많은 전자제품에서 과충전 및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과열 또는 발화 위험이 있어 사용 시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린다”며 “연기나 불꽃이 발생하고 제품이 부풀어 오르는 등 이상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지도록 하고, 화재 발생 시 즉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119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이렇게 예방하세요"
과충전 화재 312건, 전동킥보드 46건 가장 많아 기사입력:2024-08-20 15:56:5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5.12 | ▲4.29 |
코스닥 | 811.40 | ▲5.98 |
코스피200 | 432.86 | ▲0.5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460,000 | ▼167,000 |
비트코인캐시 | 831,500 | ▼1,000 |
이더리움 | 5,999,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330 | 0 |
리플 | 3,933 | ▲1 |
퀀텀 | 3,785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502,000 | ▼103,000 |
이더리움 | 6,000,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360 | ▲20 |
메탈 | 967 | ▼3 |
리스크 | 505 | ▼1 |
리플 | 3,938 | ▲6 |
에이다 | 1,148 | ▼2 |
스팀 | 181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4,460,000 | ▼140,000 |
비트코인캐시 | 832,000 | ▲500 |
이더리움 | 6,000,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8,370 | ▲20 |
리플 | 3,931 | ▼1 |
퀀텀 | 3,755 | 0 |
이오타 | 25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