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라온시큐어, 모바일 주민등록증 블록체인 기술로 구현한다 外

기사입력:2024-07-04 01:06:00
[로이슈 편도욱 기자] IT 보안·인증 플랫폼 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이정아, 042510)는 행정안전부의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한국조폐공사가 발주한 ‘모바일 신분증 구축 및 확대 용역’ 사업을 수주했다.

라온시큐어는 이번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시스템 개발에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플랫폼 ‘옴니원 엔터프라이즈’를 제공하고 모바일 환경에서 주민등록증 발급 시에 필요한 모바일 보안 부문을 담당한다.

앞서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에도 적용한 바 있는 라온시큐어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플랫폼인 옴니원 엔터프라이즈는 FIDO(생체 인증) 솔루션과 분산 서버 노드 기술을 총망라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ID 소유자의 신원 인증 정보를 발급하고 검증할 수 있다. 디지털 ID 발급 시에 진위 여부도 확인할 수 있어 위ᆞ변조, 도용 등에 따른 보안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온시큐어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시스템의 보안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자체 보유하고 있는 모바일 백신, 앱 위·변조 방지, 화면 캡처 방지, 키보드 보안 등 모바일 보안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접목할 계획이다.

모바일 신분증은 스마트폰에 저장해 소지가 간편하고 비대면 디지털 환경은 물론 오프라인 환경에서 신원 확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신분증에 표시되는 이름, 생년월일, 주소지 등의 개인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시하는 게 가능하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통해 이러한 모바일 신분증의 장점을 전 국민이 누릴 수 있게 된다.

라온시큐어는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 국가 디지털 신분증 구현 사례를 보유한 만큼 검증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ID 플랫폼 기술력을 인정 받고 있다. 앞서 라온시큐어의 기술이 적용된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 시스템 구현 요소들을 토대로 제작된 ‘분산 식별자 기반 모바일 운전면허증’ 표준안이 지난해 12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우수표준으로 선정된 바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나 남미 등 다수의 국가들이 국가 디지털 ID 도입을 적극 검토하는 가운데 라온시큐어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기술에 관심을 표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12월 말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결정하고 만 17세 이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확대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개인정보보호 기능이 뛰어난 자기주권형 블록체인 DID 기술로 공신력 있는 국가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을 구현해 세계 최고의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시프트업, 청약 경쟁률 341.24대 1 기록, 증거금 18조5550억원 집계

시프트업(대표이사 김형태)이 2일과 3일 실시한 공모주 청약이 341.2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마감됐다.

회사 측은 총 725만주의 공모주식수 중 25%에 해당하는 181만2500주를 대상으로 실시한 청약에서 69만3283건의 청약신청을 통해 6억1850만240주의 청약신청물량이 접수됐으며, 청약증거금은 18조5550억72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코스피에 상장한 대형 게임회사가 IPO 시 모집한 일반청약증거금 보다 2~3배 이상 높은 수치다. 일반 청약경쟁률은 최근 코스피에 입성한 HD현대마린솔루션의 255.8대 1보다 높은 341.2대1을 기록했다. 시프트업은 7월 11일 유가증권시장 상장 예정이다. 회사는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6만원으로 확정한 바 있다

시프트업은 이번 IPO를 통해 총 4350억원의 공모자금을 조달하게 됐으며, 이를 IP(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지적재산권) 확대 및 게임 개발 인프라 강화 등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승리의 여신: 니케’(이하 ‘니케’)와 ‘스텔라 블레이드’ 등 기존 IP 강화와 함께 ‘Project Witches(프로젝트 위치스)’ 개발 자원으로 투입할 예정이다.

시프트업 김형태 대표이사는 “시프트업의 IPO 일정에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청약에 적극 참여해주신 모든 투자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 전한다”며 “시프트업의 ‘의도된 성공’을 계속 이어나가기 위해 대표작인 ‘니케’와 ‘스텔라 블레이드’의 IP 밸류를 강화하고, 차기작도 시장에 안착시키며 지속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2013년 설립된 시프트업은 게임 개발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글로벌 게임 개발사다. 국내를 대표하는 1세대 게임 일러스트레이터(원화가)이자, 게임 제작 전반을 총괄하고 있는 김형태 대표를 중심으로 최고 수준의 역량을 갖춘 개발진과 인재들이 포진해 있다. 이를 중심으로 ‘니케’와 ‘스텔라 블레이드’ 등을 연이어 흥행시키며 실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클래시스, 태국서 볼뉴머 등 주요 장비 홍보 박차

㈜클래시스(214150, 대표이사 백승한)가 태국 방콕에서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고객을 중심으로 단독 심포지엄을 개최해 자사 주요 제품을 홍보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클래시스 APAC 심포지엄(Classys APAC Symposium)’에서는 글로벌 병의원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해 볼뉴머와 Ultraformer MPT(국내명 슈링크 유니버스)에 대한 누적 임상 결과와 시술 프로토콜을 공유했다. △한국 △호주 △태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 다국적 연자의 발표를 통해 클래시스 제품이 가진 임상적∙학술적 가치와 높은 기술력이 전달됐다.

클래시스는 먼저 출시한 Ultraformer MPT가 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 우수한 임상 성과를 쌓아가고 있는 만큼, 신제품인 볼뉴머를 성공적으로 출시하는 데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회사는 정례화된 학술 행사인 클래시스 인사이트 심포지엄을 통해 아시아 고객 확대를 가속화하고, 차별화된 학술적∙임상적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볼뉴머에 대한 고객 인지도를 확대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Ultraformer MPT의 임상 성공 사례와 시술 프로토콜을 공유해 적응증 확대 및 시술 트렌드 주도를 이룰 예정이다. 볼뉴머 역시 시장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며 두 장비 간 임상적 시너지가 입증되고 있어, 이를 통해 한국과 일본, 태국 외 아시아 전 지역으로 고객군을 다양화한다는 전략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511,000 ▲101,000
비트코인캐시 530,000 ▲3,500
이더리움 2,599,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230 ▲80
리플 3,209 0
이오스 987 ▲3
퀀텀 3,142 ▲1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488,000 ▲72,000
이더리움 2,602,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220 ▲110
메탈 1,214 ▼5
리스크 779 ▲1
리플 3,210 ▲1
에이다 1,006 ▲3
스팀 21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480,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528,000 ▲2,000
이더리움 2,600,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240 ▲80
리플 3,209 ▲1
퀀텀 3,100 0
이오타 300 ▼3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