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이슈] 솔라뱅크, ‘솔라쉐어2.0’ 론칭 外

기사입력:2024-07-01 23:37:52
[로이슈 편도욱 기자] 솔라뱅크가 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는 옥상이나 지붕을 빌려주면 매월 안정적인 임대 수익을 제공하는 ‘솔라쉐어2.0’을 새롭게 론칭했다.

일반적으로는 건물 내부 공간을 빌려주고 임대 수익을 얻을 수 있었으나, 이제는 옥상과 지붕을 활용해 추가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솔라뱅크에 따르면 ‘솔라쉐어2.0’은 업계 최고 수준의 임대 수익을 지급한다. 1kW당 연간 기본 4만 원을 지급하며, 출시 프로모션으로 첫해에는 1년간 10만 원을 추가 지급하여 300kW 기준 20년간 최대 2억 7만 원의 임대 수익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붕 면적 600평의 부지에 약 300kW의 발전소를 설치할 경우, 첫해 수익은 기본 연 1,200만 원에 특별 프로모션 3,000만 원을 더해 총 4,200만 원에 이른다. 만약 5년 치 선납 방식을 선택하면 첫해 수익은 총 8,250만 원에 달한다.

서비스 신청 시 최종 계약 단계까지 별도 비용 없이 무료로 진행되므로, 지붕이나 옥상을 소유한 건물주는 부담 없이 신청하여 예상 임대 수익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서비스 사용자는 국내 유일 동서발전 협업 RE100 컨설팅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발전소 건설 자금은 대출이 아닌 자사 에너지 투자 플랫폼 ‘모햇'을 통해 마련되어 임대 기간 동안 부동산 저당권 설정 위험 없이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모햇은 1천 개 이상의 발전소를 전문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옥상 및 지붕 임대를 통한 안정적인 발전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플라즈맵, ‘STERLINK U510’ 모델로 글로벌 시장 확대 본격화

플라즈맵(405000)이 지난 23년 10월 미국 내 협력사인 QMED사와 체결한 18억 원 규모의 ‘의료용 저온 플라즈마 멸균기 제품(모델: STERLINK U510)’ 구매 계약 기간 변경을 공시했다고 1일 밝혔다.

해당 계약의 첫 선적은 지난 3월에 이루어졌으며, 6월에 2차 선적을 완료하며 미국 수의과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번 계약기간 변경은 양산 준비 과정에서 국내 및 일본 수출향 모델을 같이 준비하면서 일부 지연된 사항으로 변경 후 잔여 계약 기간 동안 100% 계약내용을 이행할 예정이다. 회사는 본 계약이 향후 미국 시장 내 플라즈맵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플라즈맵은 ‘STERLINK U510’제품에 대해서 국내 시장에서는 오스템과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일본 시장에서는 현지 파트너사가 일본 의료기기 허가를 진행하고 있고 이번 3분기에 인증이 완료되면 일본에서의 본격적인 판매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플라즈맵의 임유봉 대표이사는 “STERLINK U510’ 제품의 국내외 빠른 시장확대를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했고 이는 당사의 CASH COW 사업이 될 것”이라며, “올해 글로벌 의료기기 인증들을 통해서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매출의 퀀텀 점프를 만들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카이투스, 美 수중드론 기업과 독점 판매 계약 체결

안티드론 전문업체 카이투스테크놀로지(이하 ‘카이투스’)는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수중드론(ROV) 제조 전문기업 오션보틱스(OCEANBOTICS)와 국내 독점 판매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수중드론 분야는 수중정찰은 물론 선박, 댐, 교량 하자 점검, 양식장, 해양 생태계 관리 연구 등 다방면에 걸쳐 활용돼 드론 업계에서도 블루오션으로 평가된다.

오션보틱스는 미국 해군∙해경, 영국 국경수비대, 호주 국경수비대, 프랑스 해군 등 전세계 14개 이상의 국가 군∙경 및 해양 기관에 고성능 수중드론을 제조 납품하고 있다. 이 회사의 수증드론은 글로벌 석유기업 쉘(Shell), 엑손모빌(Exxon Mobil), 쉐브론(Chevron)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호주 국경수비대는 오션보틱스의 수중드론 SRV8를 활용해 선박 하부에 부착된 코카인 200kg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는 호주 시사프로그램 ‘60분 호주(60 minutes Australia)’에 특종 보도된 바 있다. 이 제품은 최대 500m까지 잠수가 가능하고 작전반경은 약 3km에 달하며 배터리 운용 시간은 최대 8시간으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 자체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이례적으로 구매자에게 평생 무상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것이 차별점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957,000 ▲106,000
비트코인캐시 526,500 ▼1,500
이더리움 2,613,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040 ▲140
리플 3,178 ▲8
이오스 972 ▲2
퀀텀 3,143 ▲1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065,000 ▲105,000
이더리움 2,613,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020 ▲150
메탈 1,208 ▲1
리스크 793 ▲4
리플 3,181 ▲9
에이다 1,002 ▲6
스팀 2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11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526,500 ▼1,000
이더리움 2,61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030 ▲130
리플 3,180 ▲8
퀀텀 3,102 0
이오타 29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