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대법원 제3부(주심 대법관 엄상필)는 모욕 사건 상고심에서 피고인의 상고를 받아들여 유죄로 본 1심을 유지한 원심판결(벌금 200만 원)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대구지법)에 환송했다(대법원 2024. 5 9. 선고 2024도2131 판결).
이 사건 발언 당시 피고인과 피해자는 모두 노상에서 유튜브 방송을 진행하고 있었던 사실, 피고인과 피해자는 정치적 성향을 달리하여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피고인이 방송을 진행하던 중 근처에 있던 피해자가 훼방하는 발언을 하여 실랑이를 벌이다가 피해자에게 “B이, 니 보고 하는 이야기 아니니 입 다물어라. 경찰관계자 분도 보고 계시겠지만 저 여자가 정상적인 여자라 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했고, 이에 피해자가 “입 다물어라? 정상이 아닌 것은 니다.”라고 말하자 피고인이 “병원 좀 가봐라. 상담 좀 받아 봐야겠다. 상당히 심각하다. B”이라고 말한 사실을 알 수 있다.
피고인은 범죄사실 기재와 같은 발언을 한 것은 맞지만 과연 그와 같은 발언이 형법상 모욕죄에 해당하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1심(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2023. 4. 26. 선고 2023고정2 판결)과 원심(대구지방법원 2024. 1. 12. 선고 2023노1698 판결)은 모욕이란, 사실을 적시하지 아니하고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범죄사실 기재와 같은 발언은 피해자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발언으로서, 피고인이 공연히 그와 같은 발언을 한 것은 모욕죄에 해당한다며 벌금 200만 원을 선고했다.
대법원은 이 사건 발언이 피해자에 대한 부정적ㆍ비판적 의견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피해자를 불쾌하게 할 수 있는 무례한 표현이기는 하지만 객관적으로 피해자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모욕적 언사에 해당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럼에도 원심은 이 사건 발언이 형법 제311조의 모욕에 해당한고 인정한 원심의 판단에는 형법상 모욕의 의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형법 제311조의 모욕죄는 사람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의미하는 ‘외부적 명예’를 보호법익으로 하는 범죄로서, 여기서 ‘모욕’이란 사실을 적시하지 아니하고 사람의 외부적 명예를 침해할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표현이 모욕죄의 모욕에 해당하는지는 상대방 개인의 주관적 감정이나 정서상 어떠한 표현을 듣고 기분이 나쁜지 등 명예감정을 침해할 만한 표현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당사자들의 관계, 해당 표현에 이르게 된 경위, 표현방법, 당시 상황 등 객관적인 제반 사정에 비추어 상대방의 외부적 명예를 침해할 만한 표현인지를 기준으로 엄격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어떠한 표현이 개인의 인격권을 심각하게 침해할 우려가 있는 것이거나 상대방의 인격을 허물어뜨릴 정도로 모멸감을 주는 혐오스러운 욕설이 아니라 상대방을 불쾌하게 할 수 있는 무례하고 예의에 벗어난 정도이거나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ㆍ비판적 의견이나 감정을 나타내면서 경미한 수준의 추상적 표현이나 욕설이 사용된 경우 등이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외부적 명예를 침해할 만한 표현으로 볼 수 없어 모욕죄의 구성요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없다(대법원 2015. 9. 10. 선고 2015도2229 판결, 대법원 2022. 8. 31. 선고 2019도7370 판결 등 참조).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대법원, 유튜버 모욕 사건 벌금 200만 원 선고 원심 파기 환송
기사입력:2024-05-28 16:41:0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07.33 | ▲30.06 |
코스닥 | 725.40 | ▲2.88 |
코스피200 | 347.08 | ▲5.5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893,000 | ▼300,000 |
비트코인캐시 | 584,500 | ▲4,000 |
이더리움 | 3,584,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820 | ▲420 |
리플 | 3,615 | ▲161 |
이오스 | 1,281 | ▲1 |
퀀텀 | 3,704 | ▲4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881,000 | ▼374,000 |
이더리움 | 3,583,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850 | ▲400 |
메탈 | 1,296 | ▲24 |
리스크 | 821 | ▲5 |
리플 | 3,613 | ▲156 |
에이다 | 1,194 | ▲31 |
스팀 | 22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890,000 | ▼400,000 |
비트코인캐시 | 584,500 | ▲6,000 |
이더리움 | 3,586,000 | ▲2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770 | ▲370 |
리플 | 3,616 | ▲162 |
퀀텀 | 3,690 | ▲63 |
이오타 | 36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