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집합건물 표준관리규약’ 전면 개정

서면(전자적 방법)에 의한 결의시 의결 정족수 완화(4/5 → 3/4) 등 기사입력:2024-01-15 16:52:22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청 전경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차영환 기자] 경기도가 지난 9월 29일 개정된 ‘집합건물법’에 따라 ‘경기도 집합건물 표준관리규약’도 전면 개정했다고 15일 밝혔다.

경기도에서 보급하는 집합건물 표준관리규약은 법에서 정하지 않았지만 집합건물 관리에 필요한 내용들을 규정한 이른바 관리규약을 제정하거나 개정할 때 참조할 수 있도록 한 표준(안)이다.

이번 개정 규약의 주요 내용은 ▲전유부분 50개 이상의 건물 관리인의 사무 집행을 위한 모든 거래 행위에 대한 월별 장부 및 증빙서류 5년간 보관 의무화 ▲서면 또는 전자적 방법에 의한 결의시 의결 조건 완화(구분소유자 및 의결권 5분의 4 이상 → 구분소유자 및 의결권 4분의 3 이상) ▲관리인의 연 1회 관리단 사무 보고 대상 확대(구분소유자 → 구분소유자 및 점유자) 등이다.

경기도는 집합건물의 용도, 관리위원회 설치 여부, 단동·단지 여부 등에 따라 유형별로 총 10가지의 표준관리규약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경기도내 소규모 공동주택, 오피스텔, 상가 등 집합건물은 이번에 개정된 표준관리규약을 참조해 각 집합건물의 관리규약을 제정 또는 개정을 할 수 있으며(관리단 집회에서 구분소유자의 및 의결권의 각 4분의 3 이상 찬성 필요), 표준관리규약은 경기도청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이계삼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관리단이 자치 관리규약을 제·개정하고자 할 때 이번 집합건물 표준규약 개정이 집합건물 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합리적 기준이 되길 바란다” 면서 “분쟁해소 제도 운영 10년간의 노력으로 경기도 건의안이 집합건물법 개정안에 반영됐듯이 앞으로도 투명하고 올바른 집합건물 관리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소통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집합건물의 분쟁 해소 및 예방을 위해 2013년 6월부터 분쟁의 당사자 간 대화와 타협의 장인 ‘집합건물 분쟁조정위원회’를, 2016년 3월부터는 변호사 재능기부를 통한 무료 법률서비스인 ‘집합건물 열린상담실’을 2020년 3월부터는 변호사, 회계사, 주택관리사 등으로 구성된 찾아가는 현장 무료 자문서비스인 ‘집합건물관리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집합건물 관리 종합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61.62 ▼3.80
코스닥 724.01 ▼2.45
코스피200 338.91 ▼0.1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358,000 ▲11,000
비트코인캐시 524,500 ▼500
이더리움 2,606,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180 ▲20
리플 3,238 ▼1
이오스 984 ▼1
퀀텀 3,14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362,000 ▼1,000
이더리움 2,606,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4,160 0
메탈 1,219 ▼1
리스크 773 ▲3
리플 3,239 ▲1
에이다 1,008 ▲1
스팀 21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380,000 ▲30,000
비트코인캐시 523,500 ▼1,500
이더리움 2,605,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210 ▲40
리플 3,238 ▼1
퀀텀 3,140 ▲10
이오타 299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