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잠실우성1·2·3차 재건축’ 수주…‘잠실 자이 리비에르’ 재탄생

기사입력:2025-07-12 16:14:05
GS건설이 잠실우성1·2·3차 재건축에 제안한 잠실 자이 리비에르 조감도.(사진=GS건설)

GS건설이 잠실우성1·2·3차 재건축에 제안한 잠실 자이 리비에르 조감도.(사진=GS건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GS건설이 서울 송파구 대표 재건축 사업지인 잠실우성1·2·3차 아파트의 시공권을 확정지었다.

GS건설은 12일 잠실우성1·2·3차 재건축조합이 개최한 총회에서 참석 조합원 1497명(전체 1822명) 중 1208명(80.7%)의 지지를 얻어 시공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진행된 1차 입찰과 올해 5월 2차 입찰 모두 GS건설이 단독 참여로 수의계약 요건을 충족했고, 이번 조합원 총회 의결로 최종 시공권을 확정한 것이다.

해당 사업은 향후 재건축을 통해 12만354㎡ 부지에 지하 4층~지상 49층, 16개동 규모의 총 1644가구 및 부대복리시설을 신축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총공사비는 1조6427억원으로, 압구정2구역과 함께 올해 ‘재건축 최대어’로 꼽히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GS건설은 해당 사업에 단지명을 ‘잠실 자이 리비에르(Xi RIVIELE)’로 제안하고, 최고급 하이엔드 주거단지로의 재탄생을 예고했다. 특히 ▲트리플 스카이브릿지 ▲한강·탄천 조망 극대화 ▲잠실 최대 규모의 커뮤니티 시설 등 상징적 설계를 통해 단지를 잠실 랜드마크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공사비는 3.3㎡당 869만9000원으로 제안했다. 이는 조합의 예정 가격 대비 낮은 수준으로, 조합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는 평가다. 게다가 설계검토를 통해 지상 커뮤니티 일부를 지하로 배치하고, 상가 면적을 일부 줄이는 대신 약 1004평 규모의 분양면적을 늘려 분양수익을 700억원 더 확보하는 등으로 조합원 분담금을 낮췄다.

이와 함께 GS건설은 조합원을 위한 분담금 납부 선택제도도 제시했다. ▲입주 시 ▲입주 2년 후 ▲입주 4년 후 중에서 100% 납부 시점을 조합원이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상가 및 아파트 최초 분양가 대물변제 ▲철거 부산물 수익 조합 귀속 ▲대안설계 비용, HUG 보증수수료 시공자 부담 등의 조건도 조합에 유리하게 제안했다.

이곳은 입지 경쟁력도 우수하다. 잠실우성1·2·3차는 지하철 2·9호선 환승역인 종합운동장역 초역세권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치동 학군과 인접한 학세권 단지로 평가받는다. 여기에 ▲한강·탄천 조망권 ▲MICE 복합개발 수혜 기대 ▲잠실운동장 리뉴얼 사업 등으로 미래가치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한 도시정비업계 관계자는 “잠실우성1·2·3차는 입지, 규모, 브랜드 측면에서 강남권 재건축의 상징적 사업이다”며 “GS건설이 제안한 설계와 조건이 조합원들의 기대치를 충족시키면서 높은 지지를 얻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GS건설은 HDC현대산업개발과 함께 총공사비 6217억원 규모의 ‘신당10구역 재개발사업’도 동시에 수주하며 하반기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나아가 앞으로 성수전력정비구역 1지구 등에서 벌어질 수주전에도 전사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54,000 ▼4,000
비트코인캐시 691,000 ▲1,500
이더리움 3,986,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80
리플 3,757 0
퀀텀 3,048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59,000 ▲39,000
이더리움 3,988,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650 ▲40
메탈 1,077 ▲2
리스크 619 ▲7
리플 3,762 ▲4
에이다 967 ▲3
스팀 19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70,000 0
비트코인캐시 691,000 ▲1,500
이더리움 3,985,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690 ▲20
리플 3,756 ▲1
퀀텀 3,037 0
이오타 25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