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hy는 ‘잇츠온 신선란’의 판매량이 최초 출시한 2019년 이후 5년간 연평균 50%씩 꾸준히 상승했다고 26일 밝혔다.
정기구독 수요 증가와 함께 차별화된 서비스가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달걀은 가정 내 반복적으로 소비되는 식재료로 떨어질 때마다 장보기가 번거롭다. hy 정기배송은 지정일, 배송주기를 선택하면 일정에 맞춰 프레시 매니저가 정해진 장소로 전달해 줘 편리하다. 실제, 첫 해 약 1700명으로 시작한 정기구독 고객 수는 2023년 11월 기준 1만 3000명까지 늘어나며 694% 신장했다.
배송품질과 합리적 가격도 강점이다. hy는 출고부터 냉장카트에 이르기까지 배송 전 단계에 콜드체인 시스템을 적용해 신선함이 중요한 달걀 등 신선식품 배송에 특화되어 있다.
또한 정기구독 서비스 이용 시 20% 할인이 적용된다. 구매후기 분석결과 고객들은 구매 경험 중 할인과 무료배송에 따른 가성비를 가장 큰 혜택으로 꼽았다.
높은 만족도는 재구매율로 나타났다. 달걀류 재구매율은 86.9%로 전체 정기구독 제품 중 1위다.
hy는 이 같은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제품 카테고리를 확대 중이다. 현재 판매 중인 잇츠온 계란 5종외에 소비자 편의에 맞춘 15구, 30구형 등 다양한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강미란 hy HMR CM팀장은 “신선제품 카테고리 서비스는 제품의 질, 신선도, 편리한 배송이 함께 충족되어야만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며, “최고의 신선도를 유지해 라스트마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hy만의 차별화된 배송을 활용해 다양한 정기구독형 냉장식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예스24, 크레마 X <도둑맞은 집중력> 콜라보 챌린지 진행
예스24가 크레마 X <도둑맞은 집중력> 콜라보 챌린지를 1월 2일부터 8일까지 진행하고, 이에 앞서 12월 29일까지 단 4일간 '크레마 모티프' 할인 이벤트를 실시한다.
예스24 '올해의 책' 1위에 오른 도서 <도둑맞은 집중력>을 주제로 하는 이번 챌린지는 새해 새로운 시작을 맞아 집중력 회복을 목표로 기획됐다. 예스24의 eBook 리더기 '크레마'가 일상 속 도파민 중독에서 벗어나 잃어버린 집중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챌린지는 1월 2일부터 8일까지 총 7일 내 X(구 트위터) 크레마 공식 계정을 팔로우한 뒤 '#집중력회복챌린지', '#크레마' 필수 해시태그와 함께 크레마 기기 사용 모습이 담긴 사진을 1장 이상 X에 올려 인증하면 된다.
우수 참가자 2명에게는 예스24 10만원 상품권을 선물하고, 기간 내 1회 이상 인증한 모든 참가자 중에서도 10명을 추첨해 예스24 1만원 상품권을 독서 지원금으로 증정한다. 당첨자는 1월 12일 발표된다.
◆대전·세종·충남 흐리고 미세먼지 나쁨…낮 최고 9도
화요일인 26일 대전·세종·충남은 흐린 날씨가 이어지겠다.
이날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대전 -1.3도, 세종 -0.8도, 천안 -2.0도, 서산 -2.4도, 보령 2.3도, 부여 -1.9도 등이다.
낮 최고 기온은 대전 9도, 세종 8도, 충남 7∼9도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세먼지 농도는 '나쁨'이다.
당분간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큰 추위는 없겠으나, 내륙을 중심으로 낮과 밤의 기온 차가 10도 이상 큰 곳도 있어 건강, 안전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hy, ‘잇츠온 신선란’ 연평균 50% 신장 外
기사입력:2023-12-26 12:29:2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750,000 | ▲266,000 |
비트코인캐시 | 532,000 | 0 |
이더리움 | 2,616,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20 | ▲20 |
리플 | 3,194 | ▲14 |
이오스 | 978 | ▲1 |
퀀텀 | 3,121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770,000 | ▲232,000 |
이더리움 | 2,614,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10 | ▲50 |
메탈 | 1,214 | ▼6 |
리스크 | 791 | ▼4 |
리플 | 3,191 | ▲13 |
에이다 | 997 | ▲6 |
스팀 | 21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870,000 | ▲30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1,500 |
이더리움 | 2,614,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60 | ▲80 |
리플 | 3,192 | ▲12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