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전 국토 100m 단위로 8대 재난재해 취약성 진단 지원

기사입력:2023-11-28 15:46:35
쇠퇴지역 재난재해 진단시스템 화면.(사진=LH)

쇠퇴지역 재난재해 진단시스템 화면.(사진=LH)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LH는 8대 재난재해 유형별 취약성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쇠퇴지역 재난대응형 통합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LH에 따르면 이 플랫폼은 국토교통부 및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국책연구과제인 ‘쇠퇴지역의 도시공간 위험성 분석 및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개발’을 통해 구축됐다. 기후변화로 자연재해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선제적인 재난재해 대응이 필요하고 특히 낮은 도시회복력으로 많은 피해가 예상되는 쇠퇴지역의 도시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 및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일환이다.

‘쇠퇴지역 재난대응형 통합플랫폼’은 재난재해 취약성을 분석하는 재난재해 진단시스템, 취약한 재난재해 유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계획수립 지원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재난재해 진단시스템은 전 국토를 대상으로 재난재해 위험정도를 1~5등급으로 도출해 전국, 시·군·구, 읍·면·동 단위로 상대 비교분석이 가능하다.

특히, 진단시스템은 기존 집계 단위보다 작은 격자 단위(100m)로 구축돼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전 국토의 위험도에 대한 상시DB를 활용할 수 있어 분석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LH는 ‘쇠퇴지역 재난대응형 통합플랫폼’이 재난 대응에 취약한 지역들이 대응·복구 중심의 관리체계에서 더 나아가 선제적으로 재난재해를 예측하고,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LH는 오는 12월에 지역 및 도시 방재 능력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도 플랫폼을 제공할 예정이다.

김홍배 LH토지주택연구원장은 “이번 연구 성과가 도시 내 쇠퇴지역에서 전 국토로, 공공에서 민간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별·도시별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성공적인 협업모델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77.27 ▼2.21
코스닥 722.52 ▼7.07
코스피200 341.49 ▲0.2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742,000 ▲80,000
비트코인캐시 579,000 ▲3,000
이더리움 3,527,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7,830 ▲170
리플 3,324 ▲12
이오스 1,270 ▲2
퀀텀 3,520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822,000 ▲131,000
이더리움 3,528,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7,860 ▲210
메탈 1,272 ▼2
리스크 795 ▲6
리플 3,324 ▲14
에이다 1,120 0
스팀 225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820,000 ▲130,000
비트코인캐시 577,500 ▲500
이더리움 3,530,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27,850 ▲140
리플 3,323 ▲13
퀀텀 3,497 ▲14
이오타 34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