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상반기 최고의 품절템 점보도시락라면 열풍을 이어가기 위해 11월 2일(목) 점보라면 2탄인 공간춘쟁반짬짜면(이하 공간춘)을 선보인다.
먹방 콘텐츠가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가운데, 지난 5월 말 출시한 점보도시락라면은 온∙오프라인에서 먹방 열기와 대용량 트렌드를 선도했다.
실제로 온라인에선 점보도시락라면 관련 유튜브 숏츠 영상 중 최고 재생수를 기록한 콘텐츠가 2,340만 회를 넘어섰으며, 인스타그램 언급량은 누적 2만 건을 돌파했다.
오프라인에선 품절대란을 일으키며 출시 5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70만 개, 매출 60억 원을 기록했다. 이벤트성으로 5만 개 한정 운영하려던 상품이 고객들의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상시 운영상품으로 전환돼 현재 GS25 라면 중 매출 1위를 달성하고 있다.
GS25는 먹방 트렌드와 컵라면은 1인분이라는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압도적인 크기가 색다른 것을 찾아 즐기려는 요즘의 고객 수요에 부합되면서 큰 인기를 끈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GS25는 '점보라면'의 새로운 도전을 위해 볶음면 형태로 시리즈 2탄 '공간춘'을 준비했다. '공간춘'은 PX(군 마트) 꿀조합 레시피인 공화춘짜장과 간짬뽕을 결합한 '짬짜면(짜장+짬뽕)'이다. 앞서 PX 인기 상품인 ‘슈넬치킨’의 단독 론칭 성공을 바탕으로 PX 상품에 대한 고객 니즈를 파악하고 수많은 리뷰와 출시 요청을 기반으로 출시하게 됐다.
'공간춘'은 가로 34cm, 세로 28cm 높이 9cm의 용기 안에 일반 1인분 라면 8개와 공화춘짜장소스 1개, 간짬뽕소스 1개, 후레이크 1개, 매운소스 1개가 동봉됐다. 최근 매운맛 라면 트렌드에 따라 개인별 기호에 맞춰 사용될 수 있도록 매운소스를 추가로 넣었다. 필요한 끓는 물의 양은 2.2L이며, 취향에 따라 공화춘짜장과 간짬뽕을 반반씩 따로 조리해 나눠 먹거나 섞어 먹을 수 있다.
상품 패키지 디자인은 점보라면이 유튜브 먹방 콘텐츠로 자주 활용되는 것에 착안하여 인스타그래머블(인스타에 올릴 만한이란 뜻의 신조어)의 의미를 담아 유튜브 플레이 모양으로 제작됐다. 또한, 캐릭터가 공화춘짜장과 간짬뽕을 들고 있는 이미지를 삽입해 두 가지 상품이 들어가 있다는 직관적인 요소를 잘 살렸다. 해당 상품은 전국 GS25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매주 목요일 점포 당 최대 4개씩 입고될 예정이다.
GS25는 압도적인 크기와 뛰어난 상품력으로 기획된 공간춘이 상반기 점보도시락라면에 이어 하반기 점보 트렌드와 인기 품절템으로써의 명성을 이어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대종 GS리테일 가공기획팀 상품개발담당자(MD)는 "점보라면을 향한 뜨거운 반응에 힘입어 대용량 열풍을 이어갈 새로운 형태의 두 번째 점보라면을 준비하게 됐다"라며, "앞으로도 기존의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고객이 경험해보지 못한 맛과 경험을 지속적으로 선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뷰티에 이어 건기식에도 슬로우 에이징이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
노화를 완벽하게 막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런 이유로 노화는 싸워서 이겨야 할 대상이 아니라 진행 속도를 늦추면서 좀더 건강하게 나이가 들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대상인 것이다.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슬로우 에이징(Slow-aging)’은 외형적인 젊음을 유지하기 위한 뷰티 제품에서 시작해 건강함을 오래 유지해 삶의 질을 더 높이기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관심의 분야가 확장되어 가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가 최근 1년간 건강기능시품(이하 건기식)을 섭취한 25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20대와 30대를 합한 비율이 28%로 높게 나온 것을 봤을 때, MZ세대가 건강 분야에서의 슬로우 에이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슬로우 에이징을 위한 다양한 자기관리 중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제품들 중에서 현재 신체 상태에 맞춰 섭취할 제품들을 기능과 원료, 섭취법 등에 따라 선택하는 일도 보다 신중해지고 있다. 특히, 건기식의 경우 꾸준히 섭취해야 높은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액체형이나 필름형, 스틱 젤리형 등의 형태로 제작해 섭취에 거부감을 줄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거부감 없이 편하게 섭취하면서 슬로우 에이징을 실현할 수 있는 건기식 아이템들을 추천한다.
보통 프로폴리스는 특유의 씁쓸한 맛과 향으로 인해 꾸준히 섭취하기 쉽지 않은 성분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액상 드롭형 프로폴리스 제품은 물이나 주스, 우유 등에 희석해서 먹을 수 있어 누구나 부담 없이 섭취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교원더오름 ‘웰씨드 그린 프로폴리스 디펜스드롭’은 브라질 청정 고산지대에서 생산된 그린 프로폴리스 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평가받는 울트라 그린 등급의 프로폴리스를 액상형으로 만든 제품이다. 교원더오름과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소기업인 서울프로폴리스가 공동으로 개발해 신뢰성이 높은 건강기능식품으로,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 추출 기술인 WEEP공법을 통해 잔여물 없이 깨끗하게 물에 녹아 누구나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다.
건기식 필름형 제품은 체내 흡수율이 높다는 점과 간편한 섭취가 큰 장점이며, 휴대가 용이해서 야외활동 시에도 섭취가 가능하다.
닥터필 ‘홍삼’은 국내산 6년근 발효홍삼농축액이 함유된 특허 받은 구강용해필름 제품이다. 물 없이 입안에서 빠르게 녹아 누구나 삼키기 쉽고 섭취하기 편하며 개별포장 형태로 휴대가 편리한 것이 특징이다.
어린이들의 건기식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출시된 젤리형 건기식 제품이 이제 성인들을 위한 건기식에도 적용돼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매일 챙기기 어려웠던 영양제를 간식의 개념으로 바꿔 꾸준한 섭취에 도움을 주게 되었다.
GNM자연의품격 '상쾌한 식이섬유 젤리 사과맛'은 유전자 변형을 하지 않은 Non-GMO 옥수수 전분에서 추출한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만 엄선해 담겼으며 1포당 식이섬유 4.2g 함유했다. 농축액이 부원료로 배합돼 상큼한 맛은 더해졌으며 젤리 타입으로 제조됐다.
◆강남구 보육인의 날 기념 행사 개최
강남구(구청장 조성명)가 오는 11월 2일 16시 대치2문화센터 3층 강당에서 ‘2023년 강남구 보육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강남구는 국공립·민간·가정·직장·협동어린이집 178개소에서 보육교직원 2,300여 명이 1만600여 명의 영유아 (0세~7세)를 돌보고 있다. 구는 지난 추경을 통해 보육교사의 장기근속수당을 월 7만원에서 10만원으로 증액하는 등 아이들을 돌보는 선생님들의 처우 개선에 힘쓰고 있다. 이번 행사 역시 이러한 교사들의 노고를 격려하기 위해 개최하는 기념행사로, 강남구 어린이집연합회와 육아종합지원센터 주최로 열린다. 우수 교직원 표창, 보육사업 우수사례 공유회, 힐링 공연 등을 진행한다.
기념행사에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200여 명의 보육교직원들이 참석한다.우수 교직원 60명에게 보육사업 유공 표창장을 수여하며, 행사 당일 대표로 8명에게 표창장을 시상한다. 또한 구에서 어린이집 역량 강화를 위해 개최한 국공립․민간어린이집 공동기획 특화프로그램 공모에서 선정된 팀의 우수사례를 공유한다.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을 돌보는 보육교사의 일과를 담은 영상을 시청하고, 참석자들이 잠시 쉴 수 있는 힐링 음악회를 열어 공감과 위로의 시간을 갖는다. 행사장에는 아이들이 직접 그리고 만든 아기자기한 그림과 공작물도 전시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GS25, 점보라면 2탄 짬짜면 ‘공간춘’ 출시 外
기사입력:2023-10-31 09:36:4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805,000 | ▼326,000 |
비트코인캐시 | 520,000 | ▼3,000 |
이더리움 | 2,644,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50 |
리플 | 3,191 | ▼9 |
이오스 | 1,010 | ▲2 |
퀀텀 | 3,182 | ▼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900,000 | ▼337,000 |
이더리움 | 2,649,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20 | ▼40 |
메탈 | 1,215 | ▼3 |
리스크 | 790 | ▼1 |
리플 | 3,193 | ▼8 |
에이다 | 1,018 | ▼8 |
스팀 | 21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810,000 | ▼380,000 |
비트코인캐시 | 521,000 | ▼2,500 |
이더리움 | 2,646,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70 |
리플 | 3,189 | ▼12 |
퀀텀 | 3,177 | ▼13 |
이오타 | 30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