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올해 수도권에서 단일 단지 기준 최다 청약 접수를 기록했던 파주 운정신도시가 내달부터 분양을 재개한다.
파주 운정신도시는 GTX-A노선 운정역(가칭_예정)의 개통이 가시화 되면서 매매가도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고, 분양가 상한제 적용에 따른 가격 경쟁력도 갖춘 만큼 후속 분양에도 많은 관심이 예상된다.
실제 파주 운정신도시는 올해 1월 정부가 GTX-A노선 내년 조기 부분 개통 추진을 밝히면서 시장이 반등세로 돌아섰다. 정부의 계획대로 파주운정~서울역 구간이 내년 하반기 개통될 경우 운정역에서 서울역까지는 20분 이내로 이동이 가능해져 서울 접근성이 더욱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서다.
특히 분양시장에는 곧바로 수요자들의 반응이 이어지면서, 6월 공급된 ‘운정자이 시그니처’의 1순위 청약에는 무려 4만1000여건의 1순위 청약통장이 쏟아지기도 했다. 이는 올해 수도권 최다 청약 기록으로, 수도권을 제외하고도 이보다 청약이 많이 몰린 곳은 대전 ‘둔산 자이 아이파크(4만8000명)’가 유일하다.
이러한 시장의 반등 분위기는 매매시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 GTX운정역(예정_가칭) 주변 주요 단지의 경우는 연초 대비 억대의 상승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운정신도시 아이파크’ 전용 84㎡는 9월 7억6800만원에 거래되며, 1월 거래가(6억2000만원)대비 1억4000만원 이상이 올랐다. 또 ‘운정 푸르지오’ 전용 84㎡도 같은 달 7억1000만원에 손바뀜 되며, 연초 대비 1억원 가량의 가격 상승을 보였다.
업계는 이러한 파주 운정신도시의 상승 분위기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GTX-A노선의 개통시기가 다가올수록 관심은 더욱 커질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형 교통호재는 개통이 다가올 수록 시장에 더 많은 파급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며 “때문에 GTX-A 운정역이 개통되는 시점까지 계속된 상승 분위기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분양시장 역시 활기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연내 파주 운정신도시의 주요 분양 예정 단지로는 우미건설이 11월 GTX-A노선 운정역(가칭 예정) 초역세권 입지인 파주 운정신도시 A21블록에서 ‘파주 운정신도시 우미린 더 센텀’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7층, 5개동, 총 418가구 규모로 전 가구가 선호도 높은 전용면적 84㎡로 구성된다. 도보권으로는 초·중·고교 부지가 있고, GTX-A 운정역(가칭_예정) 주변은 역세권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돼 상업ㆍ업무ㆍ공원ㆍ문화 시설 등이 조성될 계획이어서 주거 편의성의 확대가 예상된다.
또 현대건설은 같은 달 파주 운정신도시 와동동(F1-P1·P2블록) 일대에서 ‘힐스테이트 더 운정’를 분양할 예정이다. 앞서 주거형 오피스텔을 먼저 분양했던 단지로 전용면적 84·164㎡의 아파트 744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스타필드 빌리지와 종로M스쿨, CGV 등 주요 상업·문화시설이 함께 구성되는 복합단지다.
이밖에 제일건설㈜은 11월 중 제일풍경채 3차 아파트의 공급도 예정하고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파주 운정신도시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것은 물론 파주시 외에도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세대주, 세대원, 유주택자라면 1순위 청약을 할 수 있어 수도권 수요자들의 또 한번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올해 수도권 최다 청약자 몰린 ‘파주운정’…신규 분양 이어져
기사입력:2023-10-20 16:18:0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7.27 | ▼2.21 |
코스닥 | 722.52 | ▼7.07 |
코스피200 | 341.49 | ▲0.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290,000 | ▼181,000 |
비트코인캐시 | 573,500 | ▲4,500 |
이더리움 | 3,480,000 | ▲2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50 | ▲200 |
리플 | 3,299 | ▲15 |
이오스 | 1,249 | ▲17 |
퀀텀 | 3,487 | ▲1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237,000 | ▼208,000 |
이더리움 | 3,475,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60 | ▲240 |
메탈 | 1,273 | ▲6 |
리스크 | 798 | ▲6 |
리플 | 3,299 | ▲13 |
에이다 | 1,116 | ▲9 |
스팀 | 22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250,000 | ▼230,000 |
비트코인캐시 | 572,500 | ▲2,000 |
이더리움 | 3,480,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80 | ▲180 |
리플 | 3,301 | ▲14 |
퀀텀 | 3,458 | ▲242 |
이오타 | 34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