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추석 명절 열차 승차권을 샀다가 취소·반환하는 이른바 예약 부도인 no-show 표가 560만 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후 재판매 비율은 510만매에 불과한데 50만매는 결국 미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 소속 김학용 국민의힘 의원실이 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추석 연휴 기간 취소 반환된 승차권 중 재판매·불용처리 건수'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취소·반환된 승차권은 총 558만44매다. 전체 판매 매수인 1480만1016매 중 37.7%에 달한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 120만138매 △2019년 134만100매 △2020년 66만8030매 △2021년 69만5246매 △2022년 167만6530매 등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발매가 줄어든 2020~2021년은 반환 매수도 줄었다. 하지만 지난해 반환 매수는 이전에 비해 늘었다. 취소·반환 된 표는 코레일이 재 판매에 나서는데 최종 미판매된 표는 전체 발매된 표(票)의 3.4%인 50만4455매에 달했다.
지난해 출발 3시간 전부터 출발 시간 전에 반환 된 승차권은 36만9867매나 된다. 열차 출발 이후 반환 승차권도 1만4174매에 달한다. no-show 문제를 줄이기 위해 코레일은 취소·반환 시 위약금 발생 시기를 지난 2018년부터 출발 1시간 전에서 3시간 전으로 넓혔다.
김학용 의원은 "실제 수요자들의 명절 승차권 구매가 이뤄질 수 있도록 코레일의 면밀한 모니터링과 노쇼 방지를 위한 시스템 마련이 이뤄져야 한다“며 ”아울러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중단된 명절 현장 발매도 인터넷 예매가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객이 사용하지 않아 소멸(消滅)된 KTX 마일리지는 지난해 95억원 정도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도 7월까지 56억원 정도 사라졌는데 남은 기간을 감안하면 연간 소멸될 마일리지는 지난해와 비슷한 95억원이나 100억원 정도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KTX 마일리지는 이용객의 재구매를 촉진해 수요 증대를 유도하는 마케팅의 일환으로 2016년 11월 11일부터 도입했다. KTX 마일리지는 결제 금액의 5~11% 적립되며 100점부터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100점은 100원에 해당된다. 적립된 마일리지의 유효 기간은 5년이다. 지난 2021년 11월부터 미사용 KTX 마일리지가 소멸되기 시작했다.
김학용 의원이 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소멸 마일리지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6억6900만점 △2022년 94억8600만점 △2023년 7월까지 55억9200만점의 마일리지가 각각 유효 기간 5년이 지나 사라졌다. 올해 유효 기간 만료로 없어질 마일리지는 연간 95억원~100억원 사이 정도로 전망된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김학용 의원 "연간 KTX 마일리지 약95억원 사라진다"
5년간 KTX 추석 승차권 전체 판매 중 노쇼 37.7% 달했다 기사입력:2023-09-06 16:34:0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23.53 | ▲2.17 |
코스닥 | 725.35 | ▼7.88 |
코스피200 | 349.99 | ▲0.8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383,000 | ▼1,000 |
비트코인캐시 | 562,000 | ▲500 |
이더리움 | 3,612,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30 | ▲140 |
리플 | 3,337 | ▼26 |
이오스 | 1,117 | ▲4 |
퀀텀 | 3,386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354,000 | ▲4,000 |
이더리움 | 3,613,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90 | ▲120 |
메탈 | 1,211 | ▲2 |
리스크 | 762 | ▲3 |
리플 | 3,335 | ▼28 |
에이다 | 1,086 | ▲4 |
스팀 | 21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450,000 | ▲40,000 |
비트코인캐시 | 562,500 | ▲1,000 |
이더리움 | 3,610,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20 | ▲30 |
리플 | 3,340 | ▼21 |
퀀텀 | 3,391 | ▲8 |
이오타 | 3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