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곤 의원, ‘해양폐기물 관리법’ 국회 문턱 넘었다

- 해양폐기물 수거 보고와 관리·감독기관의 이행 결과 확인 의무화 규정 신설
- 위 의원 “어민·해녀의 삶 터전인 우리 바다 더욱 깨끗이 관리되길 바란다”
기사입력:2023-08-28 15:03:57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국회의원(오른쪽)이 지난 7월 12일 도쿄 외국특파원협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국회의원(오른쪽)이 지난 7월 12일 도쿄 외국특파원협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이상욱 기자] 국회 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제주 서귀포시)이 대표 발의한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지난 2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현행법은 해양폐기물을 발생시킨 자에게 시장 등 기초단체장이 수거 조치를 명령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이행 여부에 대한 보고의무 근거가 부재해 실질적인 확인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해양폐기물로 인한 피해는 생태계 파괴 외에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해양폐기물 저감 대책’에 따르면 바다에 버려진 밧줄·어망 등 해양폐기물은 전체 선박사고 원인의 10%를 차지하며 어업 생산성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막대한 처리비용까지 발생시키고 있다. 유엔환경계획은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관광, 어업 등 산업적 피해 처리 비용이 2018년 기준으로 60~190억 달러로 원화 7조9천억~25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에 위 의원이 대표 발의한 개정안은 해양 폐기물 수거 등의 조치 명령을 받은 경우 폐기물을 수거한 뒤 보고하도록 하는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아울러 그 보고를 받은 해역관리청 등 관리·감독기관이 이행상태를 확인하게 함으로써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위성곤 의원은 “그동안 해양 폐기물을 발생시킨 이에게 수거를 명령하도록 하는 규정은 있었으나 이행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어 반쪽 짜리 제도로 남아있었다”며 “이번 개정을 통해 어민·해녀 등 많은 사람들에 삶의 터전인 우리 바다가 더욱 깨끗이 관리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24.03 ▲2.67
코스닥 725.40 ▼7.83
코스피200 350.13 ▲0.97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481,000 ▲55,000
비트코인캐시 562,500 ▲500
이더리움 3,608,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6,860 ▼40
리플 3,349 ▼24
이오스 1,119 ▲3
퀀텀 3,389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480,000 ▲4,000
이더리움 3,609,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6,850 ▼20
메탈 1,209 0
리스크 762 ▲1
리플 3,348 ▼32
에이다 1,085 ▼2
스팀 21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550,000 ▲40,000
비트코인캐시 559,000 ▼3,000
이더리움 3,611,000 0
이더리움클래식 26,810 ▼80
리플 3,349 ▼25
퀀텀 3,383 0
이오타 31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