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문재인 정부에서 새만금 잼버리 부지가 1846억원의 농지관리기금을 투입해 매립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처음부터 치수 관리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매립이 진행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정보위원장인 국민의힘 박덕흠 의원(충북 보은·옥천·영동·괴산)이 KDI 공공투자관리센터가 작성한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보고’의 내용을 확인한 결과, 부지 높이를 농생명용지와 관광·레저용지 두 가지로 검토한 것으로 드러났다.
KDI 보고서에 따르면 농생명용지는 하천의 수위가 30년에 한 번 발생할 정도의 홍수 때 수위인 홍수위를 적용했다. 관광·레저용지의 경우 이보다 좀 더 엄격한 100년 빈도의 홍수위를 적용해 부지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용지(用地) 목적에 따라 치수 안정성에 차이가 있다.
KDI 공공투자관리센터는 잼버리 부지(敷地)를 관광·레저용지로 적용할 경우 제방의 높이 2.1m, 매립고 2.85m로 봤다. 농생명용지로 적용할 경우 제방의 높이는 1.8m, 매립고 2.57m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후 사업 시행자인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생명용지 기준을 적용해 최저 높이 1.94m, 최고높이 2.6m로 매립을 완료했다.
잼버리 부지가 농생명용지 기준에 따라 매립 된 만큼 대회 기간 중 문제가 된 배수 문제가 매립 검토 초기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했다는 점이 확인된 셈이다.
더 큰 문제는 향후 잼버리 부지가 관광·레저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잼버리 부지는 ‘새만금 기본계획’에 따라 당초 관광·레저 용지로 활용될 예정이었다. 새만금개발청장이 매각을 요청하면 청장이 지정하는 자에게 양도하도록 되어 있다.
추후 부지 활용에 대한 내용도 보고서에서 함께 검토됐는데 농생명용지 기준으로 매립할 경우 전체 731.9ha 가운데 69% 수준인 504.7ha만 관광·레저 용지 기준에 부합해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홍수나 파도에 대비해 평상시의 수위보다 더 높이 쌓는 여유분의 높이인 여유고 부족으로 나머지 부지 227.2ha는 범람이나 침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덕흠 위원장은 “농지 조성·관리 등에 사용돼야 할 농지관리기금이 문재인 정부 주도하의 편법으로 잼버리 부지 매립에 활용됐다”며 “농지 기준으로 적용된 매립 높이가 결국 잼버리 기간 배수 문제를 야기하게 된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 위원장은 “감사원이 잼버리 대회 전반에 대한 감사를 착수한 만큼 지적한 문제에 대한 확인과 적절한 조치가 꼭 이뤄져야 한다”며 “농지관리기금이 다시는 용도에 맞지 않게 사용되는 일이 없도록 이에 대한 제도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박덕흠 위원장, 잼버리부지 애초 치수 안정성 확보 미흡했다
박 위원장 “文 정권 편법 농지관리기금 활용 잼버리 부지 매립” 기사입력:2023-08-25 17:58:3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24.15 | ▲2.79 |
코스닥 | 725.21 | ▼8.02 |
코스피200 | 350.04 | ▲0.8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429,000 | ▼20,000 |
비트코인캐시 | 562,500 | ▲500 |
이더리움 | 3,607,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70 | ▲50 |
리플 | 3,341 | ▼29 |
이오스 | 1,115 | ▲3 |
퀀텀 | 3,386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398,000 | ▼94,000 |
이더리움 | 3,605,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70 | ▼10 |
메탈 | 1,212 | ▲3 |
리스크 | 762 | ▲2 |
리플 | 3,343 | ▼29 |
에이다 | 1,084 | ▼1 |
스팀 | 21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480,000 | ▼20,000 |
비트코인캐시 | 562,500 | ▼2,500 |
이더리움 | 3,607,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20 | ▲30 |
리플 | 3,341 | ▼28 |
퀀텀 | 3,383 | 0 |
이오타 | 3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