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KGC인삼공사가 폭우로 피해를 입은 계약재배 농가를 돕기 위해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피해복구에 나선다.
KGC인삼공사는 금번 집중호우로 인삼밭 침수, 유실, 매몰, 해가림 시설 손상 등이 발생한 지역에 역량을 집중하고 계약경작인의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KGC인삼공사에 따르면 전국 인삼 계약재배 농가의 피해 규모는 평년대비 2~3배가 높은 약 30㏊로 공식 축구장 면적의 40배에 달한다. 특히, 기록적으로 많은 폭우가 쏟아진 중부지방이 주요 발생지역으로 충북 괴산, 보은, 충남 공주, 청양, 경북 봉화, 영주의 피해가 컸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피해 상황에 따라 계약재배 농가의 일손을 돕기 위한 인력을 파견하는 한편 홍삼음료 등의 물품을 지원할 계획이다"라며 "또한, 인삼 병해충의 2차 피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R&D와 연계하여 방제기술을 지도하고 재해보험 절차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KGC인삼공사는 매년 농가의 크고 작은 자연재해가 발생되는 점을 고려해 ‘계약재배 농가 재해대응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다. 날씨 예보에 따라 전 계약농가에 배수로, 농자재, 시설물 관리 방법과 피해 상황별 조치사항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피해가 발생되면 신속한 상황파악에 착수해 피해복구를 위한 물품, 인력, 상생기금 지원 등의 대처를 시행하고 있다.
KGC인삼공사 김호규 원료사업실장은 “계약재배 농가는 정관장과 함께 동반 성장하는 핵심 파트너”라며 “정관장 재해대응 단계를 최고 단계로 격상해 농가 보호를 위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펼치겠다”고 전했다.
한편, KGC인삼공사는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신속한 복구와 전국 이재민 구호를 위해 1억원 상당의 정관장 홍삼 제품과 정관장 펀드 성금 2천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형지엘리트 엘리트학생복, 15년 연속 ‘프리미엄브랜드지수’ 학생복 부문 1위
㈜형지엘리트(사장 최준호)의 교복 브랜드 엘리트학생복이 한국표준협회(KSA)가 주관하는 ‘2023 프리미엄브랜드지수(KS-PBI)’에서 15년 연속 학생복 부문 1위에 선정됐다.
‘프리미엄브랜드지수’는 한국표준협회와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브랜드 자산 평가 모델로, 매년 대규모 소비자 조사를 통해 산업별 최고의 프리미엄 브랜드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올해로 론칭 54주년을 맞은 엘리트학생복은 주 타깃층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업계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공들이는 부분은 소재와 기능이다. 우수한 신축성과 복원력을 갖춘 '스판덱스' 원사를 국내 최초로 교복 전 품목에 사용했으며, 하복 상의(흰색)에는 흡습속건 기능이 뛰어난 ‘인비스타 쿨맥스' 원단을 업계 유일하게 적용했다. 허리 사이즈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교복 치마와 바지에는 각각 단추형, 슬라이딩 조절기를 부착했다.
◆최윤 항저우 AG 선수단장 "스포츠 향한 진정성으로 단장직 수락"
최윤(59) OK금융그룹 회장은 오는 9월 3일에 만 60번째 생일상을 받고 나서 보름 남짓 후에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선수단장으로 선수단 본진을 이끌고 결전지 항저우로 떠난다.
남자 프로배구 OK금융그룹의 구단주이며 대한럭비협회장인 최 회장은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 하계올림픽에서 한국 선수단의 부단장을 지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KGC인삼공사, 인삼 계약재배 농가 수해 복구 나서 外
기사입력:2023-07-20 15:42:0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922,000 | ▼628,000 |
비트코인캐시 | 521,500 | ▼7,000 |
이더리움 | 2,546,000 | ▼4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10 | ▼260 |
리플 | 3,131 | ▼76 |
이오스 | 965 | ▼19 |
퀀텀 | 3,050 | ▼8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871,000 | ▼717,000 |
이더리움 | 2,547,000 | ▼4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790 | ▼280 |
메탈 | 1,185 | ▼29 |
리스크 | 762 | ▼15 |
리플 | 3,132 | ▼74 |
에이다 | 981 | ▼19 |
스팀 | 214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940,000 | ▼640,000 |
비트코인캐시 | 521,000 | ▼7,000 |
이더리움 | 2,546,000 | ▼4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50 | ▼190 |
리플 | 3,130 | ▼75 |
퀀텀 | 3,034 | ▼66 |
이오타 | 291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