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서울증앙지방법원이 지체평가급의 지급률이 “경영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100%”로 정해져 있으나, 이는 인센티브 평가급과 합산돼 평가급 지급액을 결정하는 지급률에 반영해야 하는 비율에 불과할 뿐이고, 위 금액을 따로 보장해 지급하여야 한다고 볼 근거는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
서울증앙지방법원 제38-2민사는부 지난 5월 12일 이같이 선고했다.
사안 개요는 피고의 보수규정에 근거를 두고 관련지침과 사장이 정한 지급기준에 따라 지급하도록 되어 있는‘자체평가급’이 통상임금에 해당된다고 주장하면서 법정수당 및 퇴직금의 지급을 구하는 사건이다.
볍률적 쟁점은 ‘자체평가급’의 통상임금 해당 여부다.(소극)
이에 법원은 ‘자체평가급’은 전년도 기간에 대한 임금으로서 그 지급 시기만 당해 연도로 정하여 지급한 것으로 판단했다.
피고는 행정자치부 발표 예산편성기준에 따라 전년도 경영실적에 대한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소속 근로자에게 당해 연도 12월경 평가급을 지급하였다. 예산편성기준에 의하면 평가급의 지급액을 ‘연봉(보수)월액 × 지급률(인센티브 평가급 + 자체평가급)‘로 규정하고, 연봉(보수)월액은 평가대상연도 근무일수에 비례하여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
관련규정에 따르면 자체평가급이 지급되기 전에 퇴사한 사람도 퇴직 전년도 분의 자체평가급을 지급받을 수 있는 반면, 당해 연도 신규입사자는 전년도 근무일수가 없기 때문에 당해 연도에 자체평가급을 지급받지 못한다.
법원은 자체평가급의 전부 또는 최소한의 지급이 보장되어 있다고 인정하기 부족하다고 적시했다.
피고 보수규정에는 평가급의 지급기준과 지급률 등에 관하여 정한 바 없고, 관련 지침과 사장이 따로 정한 지급기준에 따르도록 돼 있다.
피고는 예산편성기준에 따라 전년도를 대상기간으로 한 개인별 근무평정을 실시한 후 그에 따른 등급을 반영해 결정된 지급률에 의해 산정한 평가급을 원고들에게 지급했다. 그 지급기준이 매년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었다고 볼 수도 없고, 예산편성기준의 발표 이전에 미리 최소한도로 보장된 자체평가급에 관한 규정이나 노동관행이 있었다고 볼 자료도 없다.
결국 서울증앙지방법원은 피고는 당해 연도에 지방자치단체장이 결정한 지급률에 따라 평가급을 배분하면서 인센티브평가급과 자체평가급을 합산한 후 개인의 근무평가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차등화 과정을 거쳤음. 2017년 및 2018년 예산편성기준에 자체평가급의 지급률이 “경영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100%”로 정해져 있으나, 이는 인센티브 평가급과 합산되어 평가급 지급액을 결정하는 지급률에 반영하여야 하는 비율에 불과할 뿐이고, 위 금액을 따로 보장하여 지급하여야 한다고 볼 근거는 없다고 판시했다. (원고일부승)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판결]서울중앙지법, ’자체평가급‘이 통상임금에 해당하는지 여부, 원고일부 승 판결
기사입력:2023-07-20 16:04:2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04.42 | ▼117.32 |
| 코스닥 | 901.89 | ▼24.68 |
| 코스피200 | 565.40 | ▼16.5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998,000 | ▲254,000 |
| 비트코인캐시 | 734,500 | ▲4,000 |
| 이더리움 | 5,192,000 | ▲2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970 | ▲110 |
| 리플 | 3,501 | ▲61 |
| 퀀텀 | 2,650 | ▲19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208,000 | ▲574,000 |
| 이더리움 | 5,196,000 | ▲4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970 | ▲120 |
| 메탈 | 626 | ▲3 |
| 리스크 | 271 | ▼2 |
| 리플 | 3,502 | ▲69 |
| 에이다 | 816 | ▲1 |
| 스팀 | 115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000,000 | ▲350,000 |
| 비트코인캐시 | 731,000 | ▼500 |
| 이더리움 | 5,190,000 | ▲3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930 | ▼40 |
| 리플 | 3,502 | ▲64 |
| 퀀텀 | 2,645 | ▲15 |
| 이오타 | 193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