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정부의 규제 완화 방침과 기준금리 동결 등의 영향으로 수도권 분양 시장에 온기가 도는 가운데 중대형 아파트가 가장 먼저 반등세를 보여 눈길을 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1월~6월 9일 기준) 수도권에서 분양된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의 1순위 경쟁률은 12.3대 1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용 85㎡ 이하~60㎡ 이상 6.5대 1 ▲전용 60㎡ 미만 11.2대 1을 기록해, 중대형 아파트가 중소형과 소형에 비해 경쟁률이 더 치열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분양시장이 극심한 침체기를 겪었던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하면 중대형 아파트의 반등세는 더욱 눈에 띈다.
2022년 하반기(7월~12월) 기준 수도권에서 공급된 아파트들의 전용면적별 청약 경쟁률은 ▲전용 85㎡ 초과 3.1대 1 ▲전용 60㎡ 초과~85㎡ 이하 3.2대 1 ▲전용 60㎡ 미만 3.9대 1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침체기를 지나는 동안 중소형과 소형 아파트에서 가격 하락폭도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수도권에 위치한 소형(전용 60㎡ 이하) 아파트의 매매평균값은 16.1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중소형(전용 60㎡ 초과~85㎡ 이하) 아파트가 12.22% 가격이 떨어지면서 두 자릿수 하락폭을 보였다.
같은 기간 동안 ▲중형(전용 85㎡ 초과~102㎡ 이하) -9.59% ▲중대형(전용 102㎡ 초과~135㎡ 이하) -6.68% ▲대형(전용 135㎡ 초과) -1.09% 내림세를 보여, 소형과 중소형에 비해 가격 방어가 더 잘 된 것으로 분석됐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불황에 강한 중소형’ 법칙이 이제는 흔들린 모습이다”며 “수도권 부동산이 침체기를 지나는 동안 가격 방어도 잘 되고, 청약 경쟁률도 뛰어났던 중대형 아파트의 반전은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수요자 유인 요소가 높아진 중대형 면적을 포함한 아파트들이 분양을 준비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DL이앤씨는 경기 화성 동탄2신도시에서는 ‘e편한세상 동탄 파크아너스’의 2회차 분양을 실시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12층, 13개동, 전용면적 99ᆞ115㎡, 총 800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지난 3월 성공적으로 1회차 분양을 마무리한 데 이어, 이달에는 2회차 363세대를 분양한다. 이 단지의 경우 청약 당첨 계약자에 한해 발코니 확장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계약금은 1차 1000만원 정액제로 진행된다. 여기에 계약금 10%, 중도금 10%, 잔금 80%로 계약자들은 중도금 대출에 따른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롯데건설은 서울 광진구 자양1재정비촉진구역에서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을 이달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7층~지상 최고 48층, 6개동, 전용면적 74~138㎡ 총 1,063세대 중 631세대를 일반에 분양한다. 특히 서울에서 희소성 높은 중대형 면적과 펜트하우스 등을 포함하고 있어 관심이 집중된다.
HDC현대산업개발은 6월 강원 춘천시 일원에서 ‘춘천 레이크시티 아이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춘천시 삼천동 일원에 지하 3층~지상 최고 32층, 7개동, 전용면적 63~138㎡, 총 874세대로 공급된다. 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국민평형(전용면적 84㎡)을 비롯해 중소형과 중대형까지 구성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불황에 강하다”…가격 하락폭 적고 청약 통장 몰린 ‘중대형’
기사입력:2023-06-15 15:52:5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40,000 | ▼429,000 |
비트코인캐시 | 532,500 | ▲500 |
이더리움 | 2,647,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60 | ▲40 |
리플 | 3,213 | ▼5 |
이오스 | 980 | ▼1 |
퀀텀 | 3,166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80,000 | ▼477,000 |
이더리움 | 2,651,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80 | ▲40 |
메탈 | 1,217 | 0 |
리스크 | 790 | ▼10 |
리플 | 3,216 | ▼2 |
에이다 | 1,012 | ▼5 |
스팀 | 21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70,000 | ▼510,000 |
비트코인캐시 | 535,000 | ▲3,000 |
이더리움 | 2,648,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30 | 0 |
리플 | 3,216 | ▼3 |
퀀텀 | 3,102 | 0 |
이오타 | 2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