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대법원 2부(주심 대법관 이동원)는 2023년 3월 30일 원고들이 피고(원자력안전위원회)가 참가인(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에 대해 한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4호기(이하 ’이 사건 원전‘) 운영허가처분’의 취소를 청구한 사건에서, 이 사건 원전 부지 반경 80km 바깥에 거주하는 원고들의 소를 각하하고 나머지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한 원심판결을 수긍해 원고들의 상고를 기각했다(대법원 2023. 3. 30. 선고 2022두65894 판결).
대법원은 원고들 중 이 사건 원전 부지 반경 80km 바깥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의 원고적격이 인정되지 않고, 피고가 이 사건 처분 당시 중대사고에 관한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사고관리계획서, 다중오동작 분석에 관한 화재위험도분석서, 액체 및 기체 상태의 방사성물질등의 배출계획서 및 복합재난과 주민보호대책 등의 사항에 관하여 심사를 누락했다거나 충분히 심사하지 않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한 원심을 확정했다.
원고들 중 일부는 이 사건 원전 부지 반경 80km 바깥에 거주하고, 나머지 원고들은 이 사건 원전 부지 반경 80km 안에 거주하고 있다.
영향권 밖의 주민들은 당해 처분으로 인해 그 처분 전과 비교해 수인한도를 넘는 환경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다는 자신의 환경상 이익에 대한 침해 또는 침해 우려가 있음을 증명해야만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으로 인정되어 원고적격이 인정된다.
참가인(한수원)은 2011. 6. 1. 피고에게 이 사건 원전의 운영허가를 신청했고, 피고는 원자력안전법 제20조 제1항에 따라 2019. 2. 1. 일부 조치 보완 등 조건을 붙여 운영을 허가(이하 ‘이 사건 처분’)했다.
원고들은 이 사건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제1심: 이 사건 원전 부지 반경 80km 바깥에 거주하는 원고들의 소 각하, 나머지 원고들의 청구는 기각했다.
이 사건 원전 부지 반경 80km 바깥에 거주하는 원고들이 수인한도를 넘는 환경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음을 인정하기에 부족하다.
- 이 사건 원전의 원자로 모델, 격납건물의 체적, 안전설비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와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제출된 증거들만으로는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에 따른 방사성물질의 피폭 사례가 이 사건 원전에도 유사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
- 일본 원자력위원회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 당시 그 발전소 반경 250km 이내 거주 주민들의 피난을 검토했다거나 이 사건 원전의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의 기재 내용만으로는 이 사건 원전의 부지 반경 80km 바깥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의 수인한도를 넘는 환경피해 우려를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나머지 원고들에 대해서는, 피고가 이 사건 처분 당시 중대사고에 관한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사고관리계획서, 다중오동작 분석에 관한 화재위험도분석서, 액체 및 기체 상태의 방사성물질 등의 배출계획서 및 복합재난과 주민보호대책 등의 사항에 관하여 필요한 심사를 다하지 않았다고 보기 어렵다고 봤다.
원심은 원고들의 항소를 기각해 1심을 유지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대법원, 신고리 원전 4호기 부지 반경 80km 바깥에 거주하는 원고들 소 각하 원심 확정
기사입력:2023-04-01 08:36:2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10.43 | ▲3.10 |
코스닥 | 732.32 | ▲6.92 |
코스피200 | 347.90 | ▲0.8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338,000 | ▼1,115,000 |
비트코인캐시 | 575,000 | ▼6,000 |
이더리움 | 3,483,000 | ▼4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670 | ▼330 |
리플 | 3,541 | ▼34 |
이오스 | 1,228 | ▼22 |
퀀텀 | 3,698 | ▲7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299,000 | ▼1,280,000 |
이더리움 | 3,476,000 | ▼5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620 | ▼400 |
메탈 | 1,268 | ▼12 |
리스크 | 810 | ▼11 |
리플 | 3,534 | ▼41 |
에이다 | 1,136 | ▼27 |
스팀 | 22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300,000 | ▼1,210,000 |
비트코인캐시 | 574,500 | ▼6,500 |
이더리움 | 3,483,000 | ▼4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00 | ▼350 |
리플 | 3,537 | ▼40 |
퀀텀 | 3,686 | ▲86 |
이오타 | 339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