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국토안전관리원(원장 김일환, 이하 관리원) 충청지사는 지난해 대전시·세종시·충청남북도 등 관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떨어짐’이 절반을 넘었고 사망자의 62%가 50억 원 미만의 소규모 현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2022년 한 해 동안 충청권에서 발생한 건설사고 사망자는 전년보다 4명 늘어난 29명이었다. 사망사고의 원인은 ‘떨어짐’ 15명, ‘깔림’ 5명, ‘끼임’3명 등으로 집계됐으며 ‘맞음’‘무너짐’‘넘어짐’‘부딪침’‘감전’등이 각각 1명이었다.
공사금액별 사망사고는 1억 원~10억 원 미만이 10명(34%), 10억 원~50억 원 미만이 8명(28%)에 달해 전체의 62%가 50억 원 미만의 소규모 현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대규모 건설현장 사망자는 50억 원~500억 원 미만 3명(10%), 500억 원~1000억 원 미만 2명(7%), 1000억 원 이상 6명(21%)으로 각각 나타났다.
공사종류별 사망자는 건축공사가 19명(66%)으로 절반이 넘었고 토목공사가 8명(28%), 기타공사가 2명(6%) 등이었다. 건축공사 중에서는 근린생활시설 및 단독주택공사 현장의 사망자가 다수를 차지했다.
최종근 충청지사장은 “새해에는 사망사고가 잦은 소규모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고소작업과 가시설 설치 상태 등에 대한 점검을 집중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국토안전관리원, 충청지역 건설사고 사망 원인 1위는 ‘떨어짐’
기사입력:2023-01-05 17:21: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61.30 | ▲47.90 |
코스닥 | 857.11 | ▲11.58 |
코스피200 | 475.34 | ▲8.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619,000 | ▲143,000 |
비트코인캐시 | 877,500 | ▼3,000 |
이더리움 | 6,354,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930 | ▲70 |
리플 | 4,268 | ▲10 |
퀀텀 | 3,429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729,000 | ▲220,000 |
이더리움 | 6,359,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920 | ▲80 |
메탈 | 1,003 | ▲6 |
리스크 | 512 | ▲3 |
리플 | 4,271 | ▲14 |
에이다 | 1,256 | 0 |
스팀 | 18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720,000 | ▲190,000 |
비트코인캐시 | 877,500 | ▼3,500 |
이더리움 | 6,355,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890 | ▲70 |
리플 | 4,272 | ▲16 |
퀀텀 | 3,436 | 0 |
이오타 | 26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