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31일과 1일 각각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600㎜)에 대해 "남조선전역을 사정권에 두고 전술핵탑재까지 가능한 공격형 무기"라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해 말 개최된 전원회의 보고에서 “국제관계 구도가 ‘신냉전’ 체계로 명백히 전환되고, 다극화의 흐름이 더욱 가속화되는 데 맞게 견지해야 할 대외사업 원칙을 강조했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미국은) 일본, 남조선과의 3각 공조 실현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동맹 강화의 간판 밑에 ‘아시아판 나토’와 같은 새로운 군사블럭을 형성하는 데 골몰하고 있다”고 미국의 동맹전략을 구체적으로 비난했다.
미 바이든 행정부는 한미일 3각 공조 등 지역 내 동맹국들과의 네트워크 강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북한의 핵 위협 대응에도 활용될 수 있지만 결국 중국과의 역내 패권 경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국제질서 위협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이번 전원회의 보고에서 신냉전·다극화를 거듭 언급한 것은 이런 국제정세 진단을 발판으로 올해도 핵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김 위원장이) 신냉전을 직접 언급했다는 것은 국제정세를 계속 지켜봐온 결과 결론을 내리고 그 속에서 대비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핵무력 강화의 정당성을 신냉전에서 찾고자 하는 의도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 정부는 최근 북한의 도발 중단과 대화 복귀를 견인하는 게 ‘한·미·중의 공동 이익’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북한의 도발이 계속된다면 결국 중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연대가 다시 강화될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다.
그러나 중국은 여전히 ‘건설적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원론적 호응에 그치고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미국이 대화 메시지를 적극 발신하는 것이 북한을 진정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로 보이는데 우크라이나, 대만, 중국 문제에 우선순위가 밀린 북한에 바이든 정부가 적극성을 발휘할 가능성은 다소 낮다”고 전망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