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진가영 기자] 날씨가 추워지는 가운데 주변 소방 방재 시설들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10월말 대구 매천시장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의 경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아 피해 규모를 키운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청은 전통시장에 화재알림설비 설치를 의무화하고 특정소방대상물에 연립·다세대주택이 포함되는 등의 내용이 담긴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전부 개정안을 재입법 예고했다. 즉 소방 방재 시설의 설치 규정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 소방 방재 기술 전문 전시회인 ‘소방 방재 기술 산업전(2023 FIRE TECH KOREA)’이 개최 소식을 알리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B2B 전문 산업 전시 주관사인 마이스포럼(대표 안형식)은 ‘2023 소방 방재 기술 산업전’이 내년 6월 7일부터 9일까지 서울 양재 aT센터 제2 전시장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2018년 1회차가 개최된 후 내년 6회차 개최를 앞두고 있는 것이다.
본 산업전은 소방 방재 관련 신기술 및 신제품을 선보이고 시장 동향을 파악하는 교류의 장인 동시에 참여 기업들이 희망 바이어를 만나 매출 증대를 이룰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어왔다. 첫회부터 매년 100여 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고 수천 명 이상의 관람객이 참관하는 등 대국민 소방 방재 안전 문화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내년에 6회차를 맞는 2023 소방 방재 기술 산업전은 (사)한국소방기술사회와 마이스포럼이 공동으로 주관해 전문성을 더했다.
후원기관으로는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한국소방시설협회, 한국소방산업협회, 한국화재보험협회, 한국소방단체총연합회, (사)한국화재소방학회, (사)한국소방기술인협회, (사)한국소방시설관리협회, (사)한국소방시설관리사협회, (사)한국재난정보학회, (사)한국안전인증원, 전국대학소방학과교수협의회, 한국지진안전기술원, (사)한국정보통신기술사회, 한국소방감리협회, 소방산업공제조합, 한국기술사회 등이 참여해 전시회를 뒷받침할 예정이다.
이번 산업전은 ▽소방 내진 · 면진 ▽소방 전기 · 정보 통신 ▽소방 기계 · 특수 설비 ▽소방 방화구획 · 내화구조 등 총 4개의 기술관으로 구분해 관람의 편의를 더했다.
기술관에 전시될 품목들은 ▽소방정보시스템 ▽정보전달시스템 ▽제연설비 ▽관제시스템, 비상방송 ▽피난유도 ▽cctv, 홈네트웍스 ▽내화 충진재 ▽내진/면진제품 ▽화재경보시스템 ▽내진설계, 기자재 ▽제품 S/W ▽시뮬레이션 ▽계측/제어공학 ▽소방방재제품 ▽방재설비 ▽감지 및 센싱기술 ▽자동화재탐지설비 ▽소방기계설비 ▽소방전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外 ▽소방전기설비 등이다.
전시 사무국 관계자는 “기존 전시회 보다 더욱 많은 신기술과 신제품을 전시할 계획이다. 많은 참여 바란다”라고 말했다.
전시회 사무국은 현재 참가 기업 신청을 받고 있다. 참가신청 1차 마감은 2023년 1월 31일이며, 최종 마감은 4월 30일이다. 조기 신청 시 참가비 할인 혜택이 있으며, 부스 소진 시 조기 마감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진가영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소방 방재 중요성 알린다, ‘2023 소방 방재 기술 산업전’ 내년 6월 개최
- 2023년 6월 7일부터 삼 일간 서울 양재 aT센터 제2 전시장에서 개최 기사입력:2022-12-05 10:35:4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4,858,000 | ▼1,317,000 |
비트코인캐시 | 518,000 | ▼5,500 |
이더리움 | 2,530,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650 | ▼260 |
리플 | 3,106 | ▼55 |
이오스 | 958 | ▼20 |
퀀텀 | 3,033 | ▼6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000,000 | ▼1,150,000 |
이더리움 | 2,533,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650 | ▼310 |
메탈 | 1,180 | ▼23 |
리스크 | 756 | ▼11 |
리플 | 3,108 | ▼54 |
에이다 | 973 | ▼16 |
스팀 | 212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4,890,000 | ▼1,320,000 |
비트코인캐시 | 518,500 | ▼5,000 |
이더리움 | 2,532,000 | ▼2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650 | ▼310 |
리플 | 3,106 | ▼55 |
퀀텀 | 3,017 | ▼83 |
이오타 | 286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