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두산, ‘ESG 자문위원회’ 출범
㈜두산은 22일, 서울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문홍성 사장과 ESG 분과별 담당 임원, 자문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ESG 자문위원회’를 열고 자문위원을 위촉했다.
두산 관계자는 "ESG 자문위원회는 ㈜두산 ESG위원회의 자문기구로서, ESG 목표와 과제, 이행 수준을 점검하고 개선사항을 발굴하는 실질적인 전략을 자문한다"라며 "자문위원들은 ㈜두산의 사업에 기반한 ESG 기회와 위기를 분석하고, 비즈니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언하고 의견을 나누게 된다"고 전했다.
이어 "㈜두산 ESG 자문위원회는 ESG 경영 전반을 비롯해 지속가능투자, 인권, 다양성,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공급망ESG와 공정거래, 컴플라이언스 등 ESG 영역의 전문성과 경험을 보유한 7명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됐다. 안완기 한국생산성본부 회장이 위원장을 맡는다"고 밝혔다.
자문위원은 ▲안완기 한국생산성본부 회장(위원장, ESG 경영), ▲송미선 ㈜하나투어 대표이사 사장(ESG 경영), ▲강창모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지속가능금융 및 투자), ▲이은경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실장(인권, 반부패, 다양성), ▲김태한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수석연구원(기후변화, 탄소중립), ▲신언빈 ERM코리아 파트너(ESG 전략, 환경안전, 공급망ESG), ▲이연우 법무법인 태평양 ESG랩 전문위원(거버넌스, 리스크 관리, 컴플라이언스) 등이다.
◆한국필립모리스 백영재 대표, 세계지식포럼서 ‘담배 산업의 기술 발전과 위해 저감’ 주제 발표
한국필립모리스㈜(대표이사 백영재)는 21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 23회 세계지식포럼에서 ‘담배 산업에서의 기술 혁신이 공중 보건 향상에 미친 영향’을 설명했다.
연사로 나선 한국필립모리스 백영재 대표는 “담배 연기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담배 관련 질병의 원인 대부분이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 성분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며 “필립모리스 또한 일반 담배가 야기하는 위해를 저감하기 위해 사업의 방향을 과감하게 바꾸고 2008 년 이후 약 92억 달러 (한화 약 12조원) 이상을 비연소 대체 제품 개발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이어 “아이코스와 같은 비연소 제품은 태우지 않기 때문에 일반 담배 대비 유해물질 배출이 95% 이상 현저히 적다”며 전 세계 70개국에서 아이코스와 같은 필립모리스의 비연소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2025년까지 비연소 제품이 판매되는 시장을 100개국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향해 순항 중”이라고 밝혔다.
◆델리오,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블록데몬’과 가상자산 인프라 사업 MOU 체결
크립토뱅크 델리오(대표 정상호)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소재한 글로벌 블록체인 인프라 전문기업 ‘블록데몬(Blockdaemon)’과 신규 서비스 론칭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기점으로 가상자산 및 NFT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신사업 모델 개발과 글로벌 가상자산 금융 서비스 개발 등 디지털자산 전반에 대해 한 층 강화된 금융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번에 델리오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블록데몬은 블록체인 노드(네트워크 참여자 및 검증자) 운영 서비스를 포함해 기업들이 블록체인을 활용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산업 이슈] 두산, ‘ESG 자문위원회’ 출범 外
기사입력:2022-09-22 17:16:4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990,000 | ▲134,000 |
비트코인캐시 | 528,000 | ▼2,000 |
이더리움 | 2,684,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4,450 | ▼120 |
리플 | 3,235 | ▼2 |
이오스 | 989 | ▲2 |
퀀텀 | 3,174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958,000 | ▲61,000 |
이더리움 | 2,684,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4,470 | ▼100 |
메탈 | 1,221 | ▲4 |
리스크 | 794 | ▲1 |
리플 | 3,233 | ▼2 |
에이다 | 1,015 | ▼4 |
스팀 | 21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990,000 | ▲120,000 |
비트코인캐시 | 528,500 | ▼1,500 |
이더리움 | 2,684,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70 |
리플 | 3,238 | ▲1 |
퀀텀 | 3,155 | ▼10 |
이오타 | 302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