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경기도가 개별공시지가가 땅값과 주택가격을 합한 개별주택가격보다 비싼 이른바 가격역전현상 해결을 위해 이달부터 도내 19만4,867호에 대해 정비를 추진한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의 ‘2022년도 주택·토지 간 특성불일치·가격역전현상 일제 정비’를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가격역전현상은 개별공시지가(토지담당부서)와 개별주택가격(세무담당부서)을 맡고 있는 부서가 도로와의 관계, 땅의 높낮이, 모양 등 토지 특성을 다르게 조사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실제로 지난해 1월 1일 기준 A시 B주택의 개별주택가격(토지+집)은 3,120만 원, 개별공시지가(토지)는 1억3,899만 원(㎡당 702만 원)으로 공시돼 땅과 건물값을 합친 것보다 땅값이 약 4배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는 이처럼 특성불일치 사례 4만6,798호, 가격역전현상 사례 14만8,069호 등 7월 기준 총 19만4,867호에 대해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도는 먼저 올해 안으로 총 19만4,867호를 대상으로 표준주택 선정의 적정성과 개별주택에 대한 주택특성 조사 착오 여부를 검증할 계획이다. 이후 시․군에 검증 결과를 통보하면 시․군은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특성불일치, 가격역전현상을 정비하게 된다.
도 관계자는 “개별주택가격과 개별공시지가는 재산세와 취득세 같은 지방세나 종합부동산세 등 국세 부과 시 활용되는 표준가격” 이라며 “이번 정비로 공정한 조세 정의가 구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해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특성불일치 등 정비계획을 수립해 특성불일치 304호, 가격역전현상 1,488호에 대한 일제 정비를 추진했다.
이와 함께 도는 그동안 부동산 공시가격의 제도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표준부동산 조사·평가 권한과 개별부동산 지도‧감독 권한 시‧도지사 위임, 개별주택가격 조사시 부속토지 출입 권한 부여 등 부동산 가격 공시제도 개선을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경기도, ‘2022년 주택·토지 간 특성불일치·가격역전현상’ 일제 정비 추진
땅값이 땅+집값보다 높은 개별주택 19만4,867호 가격 바로잡는다 기사입력:2022-07-14 17:29:0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330,000 | ▲311,000 |
비트코인캐시 | 827,500 | ▲2,500 |
이더리움 | 6,408,000 | ▲2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30 | ▲90 |
리플 | 4,260 | ▲3 |
퀀텀 | 3,645 | ▲1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248,000 | ▲252,000 |
이더리움 | 6,413,000 | ▲4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50 | ▲120 |
메탈 | 1,009 | ▲1 |
리스크 | 531 | ▲4 |
리플 | 4,257 | ▲1 |
에이다 | 1,257 | ▲2 |
스팀 | 18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330,000 | ▲310,000 |
비트코인캐시 | 828,000 | ▲3,500 |
이더리움 | 6,410,000 | ▲3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50 | ▲110 |
리플 | 4,261 | ▲5 |
퀀텀 | 3,630 | 0 |
이오타 | 277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