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이슈] 할리스, 거리두기 해제 후 첫 정기 창업설명회 개최 外

기사입력:2022-05-18 17:45:48
[로이슈 편도욱 기자] ◆할리스, 거리두기 해제 후 첫 정기 창업설명회 개최…업계 활력 불어넣는다

케이지할리스에프앤비가 운영하는 할리스가 오는 25일 오후 2시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KG타워 하모니홀에서 카페 창업 희망자를 위한 정기 창업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유동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 방문 매출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업시간과 사적 모임 인원수에 제한을 받았던 커피 업계도 정상 영업에 들어가며 활기를 띠고 있다. 이에 할리스는 거리두기 전면 해제 이후 첫 정기 창업설명회를 개최하며 업계에 활력 불어넣기에 나섰다.

할리스는 정기 창업설명회를 개최해 예비 창업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체계적이고 전문전인 솔루션으로 매회 참석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번 설명회에는 할리스 브랜드 소개와 가맹점 개설 절차, 안정적인 매장 운영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 등을 제공한다. 창업설명회는 약 1시간 정도 진행되며, 참석자 전원은 후보 매장 상권분석 및 출점 예정지 안내 이후 별도 개별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창업설명회는 할리스 가맹사업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메일을 통해 사전 신청이 가능하다. 접수는 선착순으로 마감되며, 최종 참석자들은 방역 지침에 따라 실내 마스크 착용 후 입장 가능하다. 자세한 사전 신청 및 창업설명회 관련 문의는 할리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할리스는 거리두기 해제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창업설명회를 기념하고자 참석자를 위한 특별한 선물을 마련했다. 창업설명회에 참석한 예비 가맹점주 전원에게는 할리스 MD와 스낵으로 구성된 선물세트를 증정할 예정이다.

창립 24주년을 맞은 할리스는 1998년 국내 최초 에스프레소 전문점으로 시작해 MZ세대의 취향을 저격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거듭나고 있다. 프리미엄 과일 음료, 잠봉뵈르와 같은 유럽 스타일 델리 메뉴 등 소비 트렌드에 따른 메뉴 출시로 소비자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방문 목적을 고려해 매장 안에 1인 좌석, 좌식 공간, 루프탑 등 다양한 콘셉트를 적용한 공간 마케팅과 드라이브스루, 펫프렌들리 등 특화 매장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할리스 앱 딜리버리 서비스와 매장 내 키오스크 설치 확대로 편의성을 높이며 커피 전문기업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할리스 관계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카페 창업을 고민하고 있다면 이번 창업설명회를 통해 할리스의 뛰어난 카운슬링과 노하우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할리스는 예비 가맹점주에게 창업과 매장 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할리스는 가맹점 지원 프로그램인 ‘할리스케어’를 운영하고 있다. 할리스케어는 ▲신규기〮존 가맹점 레벨업 프로그램 ▲신규점 웰컴 패키지 제공 ▲리뉴얼 시 인테리어 무이자 할부 지원 ▲경조사 지원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할리스는 가맹점과 소통을 확대하고, 가맹점주가 안정된 환경에서 매장을 운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비보존 제약, 45개 품목 약가인하

비보존 제약(대표이사 이두현)이 45개 품목의 상한금액을 인하한다고 18일 밝혔다. 최근 회사는 대법원으로부터 약가인하 판결을 받았으며, 이어 보건복지부가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 집행정지 해제 안내’를 공고함에 따라 인하를 진행한다. 적용 일자는 5월 23일이다.

상한금액 인하는 2007년부터 2012년 사이 발생한 리베이트에 대한 것으로, 당시 사명은 제이알피다. 회사는 2012년 6월 형사처벌을 확정받았고 2016년 12월 약가인하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1차 통보받은 바 있다.

비보존 제약의 전신인 당시 이니스트바이오제약은 해당 리베이트가 자사 인수 전 제이알피 시절 발생한 일인 점을 고려해 2017년 '약제급여상한금액 인하처분 취소청구의 소'를 제기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회사는 2018년 2심, 2019년 7월 3심을 진행했으나, 3심 결과가 나옴에 따라 최종적으로 약가인하 판결을 받게 됐다.

비보존 제약 관계자는 “5년 전부터 진행되고 있던 소송의 최종 결과가 발표된 것이며 회사는 이견 없이 지침에 따라 약가를 인하한다”며 “인수 시에도 알고 있던 내용이므로 인수자로서 모든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비보존 제약은 완제의약품 제조 및 판매 전문 기업이다. 2020년 비보존 헬스케어에 인수되며 비보존그룹에 합류했다.

◆뷰노, 국내 의료AI 최초 선진입 의료기술 확정

글로벌 의료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뷰노(대표 이예하)는 자사의 인공지능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인 뷰노메드 딥카스™(VUNO Med®–DeepCARS™)가 국내 의료AI 업계 최초로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하 NECA)로부터 선진입 의료기술로 확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뷰노메드 딥카스™는 비급여 사용이 가능해져 의료현장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향후 건강보험 수가 진입에 대한 기대를 높이게 됐다.

AI 의료기기가 신의료기술평가 유예 대상으로 확정돼 선진입 의료기술로 결정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뷰노메드 딥카스™는 지난 1월 보건복지부가 공포한 개정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에 따라 평가 유예(2년) 및 신의료기술평가(약 1년) 기간을 포함하여 최대 3년간 의료 현장에서 비급여로 사용되며 임상적 근거를 쌓을 수 있다.

뷰노메드 딥카스™는 환자의 심정지 발생 위험을 사전에 알려 의료진의 선제적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기기다. 국내에서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예상하지 못한 심정지 발생 비율은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입원 1,000건당 약 5건, 감염성 질환의 경우 입원 1,000건당 약 10건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모든 입원환자에 대한 의료진의 상시 감시가 어려운 일반병동에서는 심정지 발생을 놓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해당 제품이 병원에 도입되면 입원환자의 안전 관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뷰노메드 딥카스™는 일반병동에서 필수적으로 측정하고 EMR(전자의무기록)에 입력하는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의 4가지 기본 활력징후(vital sign)를 분석하기 때문에 EMR이 갖춰져 있는 모든 병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임상시험 분석 결과에 따르면 환자의 연령, 성별, 진료과 등 별다른 제한없이 유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혁신성과 의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20년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6호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었으며, 서울아산병원에서 실시한 대규모 확증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2021년 8월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

이번 유예 결정으로 뷰노는 뷰노메드 딥카스™의 영업과 마케팅을 본격화하는 한편, 비급여 사용을 통한 실사용 데이터(real-world data) 구축을 통해 신의료기술평가 및 건강보험 수가 진입을 위한 임상적 근거 축적 및 해외시장 진출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뷰노메드 딥카스™의 선진입 의료기술 확정은 정부의 엄격한 가이드라인을 통과한 첫 번째 인공지능 의료기기로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뷰노는 환자 안전은 물론 예방의료와 미래의료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으로서 의료기기 산업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5.73 ▼0.88
코스닥 719.22 ▲1.98
코스피200 338.29 ▼0.4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929,000 ▲1,049,000
비트코인캐시 523,000 ▲3,000
이더리움 2,667,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590 ▲320
리플 3,199 ▲12
이오스 1,015 ▲3
퀀텀 3,189 ▲2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814,000 ▲880,000
이더리움 2,666,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4,600 ▲290
메탈 1,221 ▲10
리스크 790 ▼1
리플 3,198 ▲12
에이다 1,025 ▲12
스팀 214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880,000 ▲1,030,000
비트코인캐시 522,000 ▲1,500
이더리움 2,665,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4,570 ▲270
리플 3,199 ▲13
퀀텀 3,190 ▲13
이오타 300 ▼4
ad